[경북도] 농번기 농업인력지원 시스템 구축한다...외국인 계절근로자 5614명 배정
공공영역서 76만명 인력공급... 국민참여형 일손돕기 운동도 병행 등
[한국지방정부신문=정시은 기자] 경북도(도지사 이철우)가 이달 말부터 시작되는 영농철을 앞두고 안정적 인력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펼친다.
10일 도에 따르면 올해 공공영역에서 76만여 명의 인력 공급을 목표로 농업인력 지원시스템 구축한다.
이와 함께 내국인 근로자 공급 활성화 및 외국인 계절근로자 공급을 확대한다.
도는 도농인력중개플랫폼을 통해 농가 및 구직자 구인·구직 신청, 실적관리, 이력관리 등을 전산화하는 등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구인-구직자 매칭을 강화한다.
특히, 주요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중점관리 시군 10곳을 선정해 농번기 인력수급 상황을 집중 관리한다.
또 농번기 인력부족 농가에 인력이 원활히 지원될 수 있도록 내국인 근로자 공급을 활성화한다.
지난해 44개소를 운영하던 농촌인력공급서비스를 올해 47개소로 확대 운영해 총 33만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촌인력 중개센터와 지원센터를 통해 도시구직자 등 유휴인력과 농가를 적기에 매칭해 농촌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인력 수급체계를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농식품부와 고용부가 협약을 통해 시행하는 ‘도농상생 일자리 채움사업’에 6개 시군이 참여, 약 4만여명의 도시 유휴인력을 농번기 인력 부족 농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누구나 참여 가능한 국민참여형 일손돕기 운동도 지속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농촌인력에서 외국인의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외국인 계절근로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외국인 계절 근로는 시·군에서 해외 지방자치단체와 양해각서를 체결해 인력을 확보하거나 결혼이민자 본국 거주 가족·친척을 초청하는 제도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2배 많은 5614명(18개 시·군)을 법무부에서 배정받았으며 지난달 말까지 10개 시·군에 1329명이 입국했다.
올해는 1개월 미만 단기 고용인력이 필요한 농가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김천을 비롯한 4개 시·군(300명)에서 처음으로 공공형 계절 근로를 도입했다.
공공형 계절 근로는 시·군에서 선정한 농협이 외국인 계절 근로자를 직접 고용해 공동숙소를 운영하며 하루 단위 근로가 필요한 농가에 직접 인력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올해도 고령화 등으로 인한 농촌인력 구조와 인건비 상승으로 농업 현장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인력 지원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인력수급 상황을 꼼꼼히 살펴 적기에 인력을 지원해 농가의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