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대문구] '주민참여형' AI‧IoT 센서 기반 '에너지 관리 플랫폼' 개발 착수...'에너지 절감' 민관 협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 공동 주관, 공모 선정...내년까지 총사업비 6억 원 투입 - AI 기반 난방에너지 최적제어, IoT 센서 기반 실시간 예측 모델 구축, 지능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 개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2023-06-15     김지수 기자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는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을 위해 ‘주민참여형 에너지 문제 해결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자료=서대문구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전체 건물 중 공동주택의 에너지 사용 비율이 높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가 민관이 협력해 공동주택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주민참여형 에너지 문제 해결 서비스’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AI 기반 난방에너지 최적제어, IoT 센서 기반 실시간 예측 모델 구축, 지능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 개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 등이 목표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가 공동 주관한 공모에서 선정된 것으로, 내년까지 총사업비 6억 원(국비 4억5천만 원, 구비 1억5천만 원)이 투입된다.

전국 공동주택의 에너지사용량은 전체 건물 중 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서대문구의 공동주택 비율은 86.6%로 전국 평균인 77.2%보다 높다.

구는 지난달부터 내년 9월까지 관내 16개 동 672세대를 대상으로 ▲난방에너지 절감 ▲공용전력 요금 절감 ▲에너지 관련 데이터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등을 실증한다.

이후에는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 솔루션(해결 기술)을 확대 보급한다. 이 사업을 위해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역주민이 협력한다.

구는 사전 단계로 ‘스스로해결단’을 구성하고 지난해 12월부터 총 17회의 리빙랩(생활 실험실)을 운영하며 전문가와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등 주민참여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이번 사업이 구민의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