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드론 띄워 '입체적 교통상황 관리'에 나선다...'고화질 드론 영상' 활용, 교통데이터 분석‧도출

- 실시간 교통상황 관리‧혼잡 개선 위한 ‘드론 활용 교통관리시스템’ 구축 추진...이르면 올해 9월부터 시스템 도입 - 상공서 드론 촬영 실시, TOPIS 교통 상황 모니터링에 연계, 관련 교통 데이터 분석해 상황 관리에 적용

2023-06-26     김지수 기자
서울시는 실시간 교통상황 관리와 혼잡 개선을 위한 ‘드론 활용 교통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교차로 분석영상 (자료=서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도로 상공에서 촬영한 고화질의 드론 영상으로 수집한 교통 데이터를 분석‧도출해, 입체적으로 교통 상황 관리를 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실시간 교통상황 관리와 혼잡 개선을 위한 ‘드론 활용 교통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르면 올해 9월부터 시스템이 도입돼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고차원적 교통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스템 운영 원리는 상공에서 드론 촬영을 실시해 TOPIS(교통정보센터) 교통 상황 모니터링에 연계하고, 관련 교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황 관리에 적용하는 식이다. 이에 따라 도로소통 등 혼잡 개선뿐만 아니라 지역별 맞춤형 교통대책 지원 등 다양한 방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적으로도 CCTV에 비해 한 단계 더 입체적인 관제가 가능해진다. 지금까지는 고정된 CCTV를 통해 지점별 교통상황을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했으나, 앞으로는 230m의 높은 고도에서 촬영된 고화질 드론 영상을 통해 전반적인 교통 흐름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동으로 교통데이터를 수집·분석·대응할 수 있게 된다.

실시간 드론 활용 교통관리시스템 구축 순서 (자료=서울시청)

이에 더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드론 활용 교통관리시스템’은 고품질의 FHD(1920X1080) 해상도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TOPIS 종합 교통 관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교통 시설 등 상황판 표출, 교통정보 안내까지 종합적인 교통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문화행사, 마라톤 등 체육행사, 집회 발생 시 실시간 교통상황 관리(차량통제, 사고·돌발, 정체, 우회관리 등) 및 신속한 대응체계 마련을 통해 안전하고 정확한 관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정보수집이 어려웠던 자료들을 AI 영상분석을 통해 얻게 될 전망이다. 교통량, 속도, 대기행렬 길이 등과 더불어 이음 영상을 통한 개별차량의 이동경로까지 산출하며,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교통 운영 체계 개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드론을 활용한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도로 소통뿐만 아니라 대규모 행사 등 적재적소의 교통 관리 상황에 적용하여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앞으로도 첨단 기술을 활용해 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 과학 중심의 교통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