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 "한국, 코로나백신 선두, 내년 6월 연간 2억개 생산"...文대통령에 서한[전문]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개발 성공시 내년 6월부터 연 2억개 생산" "문대통령과 함께 코로나19 대응...라이트펀드 출자규모 늘릴 것"

2020-07-27     정양기 기자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 &멜린다 게이츠 재단 회장이 "훌륭한 방역과 함께 한국이 민간분야에서 백신 개발에 있어 선두에 있다"고 평가하고 "게이츠 재단이 연구개발을 지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할 경우 내년 6월부터 연간 2억개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 &멜린다 게이츠 재단 회장(사진=빌 &멜린다 게이츠재단)

이어 "한국에서 개발되는 백신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어려운 처지 처한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빌게이츠 회장은 지난 2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감명을 받았다"며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6일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빌 게이츠 회장의 서한 내용을 공개했다.

문 대통령과 게이츠 회장은 지난 4월 통화에서 코로나19 대응책을 논의한 바 있으며 게이츠 회장이 서한을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게이츠 회장은 서한에서 “문 대통령이 보여준 리더십과 대통령 내외의 노력에 사의를 표한다”며 "한국 정부와 게이츠 재단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코로나19 등 대응에서 문 대통령과 함께 일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정숙 여사가 최근 국제백신연구소(IVI) 한국 후원회 명예회장에 추대된 것을 축하하고, 백신의 공평하고 공정한 보급을 위한 세계적 연대를 지지하는 것에도 경의를 표했다고 윤 부대변인은 전했다.

게이츠 회장은 또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하는 '라이트 펀드'에 대한 출자 규모도 확대하겠다고 서한에서 밝혔다.

라이트 펀드는 2018년 보건복지부와 게이츠 재단, 국내 생명과학기업이 공동 조성한 펀드로, 이를 통해 감염병 대응 기술을 위한 유망한 과제를 발굴해 2022년까지 500억원을 지원한다.

게이츠 회장은 지난달 개최된 글로벌 백신 정상회의에서 한국 측이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대한 기여 의지를 표명한 것에 대해서도 사의를 표했다.

<청와대 윤재관 부대변인 브리핑 전문>

‘빌 게이츠’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7월20일 서한을 보내왔습니다. 빌 게이츠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이 서한에서 게이츠 회장은 지금과 같이 어려운 시기에 문 대통령께서 보여주신 리더십과 대통령 내외의 세계보건을 위한 노력에 사의를 표했습니다.우리 정부와 게이츠 재단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코로나 및 여타 글로벌 보건과제 대응 과정에 있어 문 대통령과 함께 일할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또한 최근 김정숙 여사가 국제백신연구소(IVI)의 한국후원회 명예회장에 추대된 것을 축하하면서, 코로나19 치료와 백신의 공평하고 공정한 보급을 위한 세계적 연대를 지지한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습니다.게이츠 회장은 한국의 코로나 대응에 감명 받았다며 훌륭한 방역과 함께 한국이 민간 분야에서는 백신 개발 등에 있어 선두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특히 게이츠 재단이 코로나19 백신 연구개발비를 지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하면 내년 6월부터 연간 2억 개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한국에서 개발되는 백신을 통해 우리 국민과 세계 각국의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함께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게이츠 회장은 지난달 개최된 ‘글로벌 백신 정상회의’에서 우리 측이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대한 기여 의지를 표명한 것에 대해 사의를 표했습니다.아울러 우리 정부와 게이츠 재단이 공동으로 조성한 라이트 펀드(RIGHT Fund)에 게이츠 재단의 출자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문 대통령은 지난 4월10일 빌 게이츠 이사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코로나 대응 공조 및 백신․치료제 개발 협력 문제를 논의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