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3개년 로드맵 수립...혁신기업 판로확보·투자유치·미래 첨단기술 공유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 구성

-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10월 7일(월)~9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서 개최 - 미래 스마트도시 비전 제시, ‘스마트 선도도시 서울’ 대표 글로벌 컨벤션으로 구축 - 민·관·학 전문가 중심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조직위원회’ 구성 - 오세훈 시장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론칭, 3년 내 CES와 같이 발전시키도록 도전"

2024-01-15     김지수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화) 오후 5시 30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 2024’에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발표했다. (자료=서울시)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정보통신기술(ICT) 선도 도시 서울'을 조성하기 위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3개년 로드맵을 수립하고,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세계로 뻗어갈 수 있는 국제적인 플랫폼을 조성한다. 

이와 관련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화) 오후 5시 30분(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 2024’에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발표했다. 서울이 보유한 스마트도시 네트워크를 발판으로 서울의 혁신기술 기업을 전 세계에 세일즈하고 미래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국제적인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내용의 3개년 중장기 계획이다.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10월 7일(월)~9일(수)까지 개최

서울시는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전시회+어워드+포럼)’를 오는 10월 7일(월)부터 9일(수)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년 ‘바르셀로나 스마트시티 어워드’ 최고 도시상 수상, 2023년 ‘서울 스마트도시 상’ 개최 등 세계적인 스마트도시로 인정받은 서울만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혁신기업의 판로확보와 투자유치, 나아가 미래 첨단기술을 공유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시는 CES가 단순 전자산업 신제품을 소개하는 전시회를 넘어 기업, 정부, 기관・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총출동한 글로벌 혁신 기술의 장으로 발전한 것처럼,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찾은 세계 도시정부 관계자 및 글로벌 기업에게 최신 기술・생활 흐름에 따른 매년 특화된 주제 전시를 선보이고자 이번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미래 스마트도시 비전 제시, ‘스마트 선도도시 서울’ 대표 글로벌 컨벤션으로 구축

이번 로드맵은 도시정부 네트워크 활성화, 기업 혁신 제품 교류 확대 등 미래 스마트도시 비전을 제시하고, 첨단 혁신 스마트도시 기술을 세계 도시・기업 간 상호 교류・협력하는 ‘스마트 선도도시 서울’의 대표적인 글로벌 컨벤션으로 구축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우선, 올해는 기존의 ‘서울 스마트도시 상’을 매개로 서울이 잘하는 스마트도시 기술을 기업들과 함께 세계에 선보이고,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올해는 서울시가 AI 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해 활용하고 있는 복지, 관광, 안전, 민원분석 분야 등의 사례를 통해 서비스의 품질과 서울시민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스마트도시 서울존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라이프 존을 조성하여 최근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는 AI 기술을 포함하여 모빌리티, 빅데이터, 스마트홈, 디지털트윈, 디지털헬스케어, IoT, 로보틱스 등 우리 기업들의 스마트 기술들을 총망라하여 함께 선보인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2배 이상 규모를 확대하고 서울에서 열리는 국제행사와 연계해 개최함으로써 세계 도시들의 스마트도시 현황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장으로 더욱 발전시킬 예정이다.

2026년에는 첨단 기술발전을 일상에서 체험할 수 있는 생활 전 분야로 확대해 스마트 라이프의 현재와 미래를 모두 담아낼 예정이다. 가정 속에서, 생활 속에서 모두가 가깝게 느끼게 될 기술들이 중심이 될 것이며,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까지 참여하여 명실공히 미래 스마트라이프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학 전문가 중심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조직위원회’ 구성

또한, 기존의 ‘서울 스마트도시 상’의 연속성과 전문성도 활용해 민··학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조직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국내외 기업·바이어를 유치하고 명망 있는 인사를 초청한다.

아울러, 시는 서울에서 스마트도시를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다양한 행사를 연계 확대하여 동시에 개최함으로써,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CES에 버금가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행사로 각인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31년에는 독보적 디자인과 첨단기술이 접목된 10만㎡ 규모로 완공되는 잠실 스포츠·MICE 복합단지와 연계해 미래 스마트 라이프 신기술을 세계와 공유하는 최고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오세훈 시장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론칭, 3년 내 CES와 같이 발전시키도록 도전"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해 CES에 참여한 우리나라 기업 700여 개 중 143개 기업이 혁신상을 받았을 만큼, 대한민국과 서울의 혁신 생태계는 세계 어디에 내놔도 자부심이 느껴지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제는 서울에서 혁신 생태계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제품과 서비스를 볼 수 있도록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잘 론칭시켜 3년 내에 CES와 같이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해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오세훈 시장은 9일(화)과 10일(수) 양일간 CES 전시관을 돌며 정부, 기업들을 대상으로 「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를 홍보하고 글로벌 혁신기술의 시정 활용을 모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