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전국 광역지방정부 최초,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수 '인구 10만명당 1명' 진입...역대 최저치 기록, OECD 유럽국가와 유사한 수준
- 전년 221명보다 41명 줄어든 180명, 일 평균 0.49명 기록 -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 400명 기록 이후, 10년 만 사망자 수 '절반 이상' 감축 - 관계기관과 '교통안전 우선' 교통정책 지속적 추진해 온 결과로 분석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 시내의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며, 전국 광역지방정부 최초로 인구 10만명당 1명대에 진입했다.
이는 OECD 회원국인 노르웨이 등 유럽 국가와 유사한 수준으로, 세계 대도시 중에서도 높은 교통안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는 ‘2023년도 교통사고 통계’의 서울지역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집계한 결과, 전년 221명보다 41명 줄어든 180명, 일 평균 0.49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교통사고 집계를 시작한 1970년 이래 53년간 최저치이며,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 400명을 기록한 이후 10년 만에 사망자 수를 절반 이상 감축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서울시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1.9명,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 수는 0.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최저 수준이자 전국 최초로 1명대에 진입한 기록으로, 교통사고 발생이 비교적 낮은 OECD 유럽국가와도 유사한 수준이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대도시임에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전년(’22) 대비 18.6%, 약 10년 전 대비(’14) 55%가 감소했다.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국 평균 4.9명이고 그 중 서울시는 1.9명으로 광역지방정부 중 최초로 1명대에 안착하였다.
OECD 회원국 통계(2021년) 기준으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가장 적은 노르웨이(1.5), 스웨덴(2.0), 스위스(2.3)와 유사하며, OECD 평균(5.3), 독일(3.1), 프랑스(4.6), 미국(12.7)보다 월등히 낮은 수준이다.
부분별 통계에서도 대부분 사망자 현황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괄목할 만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보행자, 어르신 교통사고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감소 추이가 이어졌다.
보행 중 사망자는 90명으로 전년 대비 20%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보행사망자 수는 ´22년 113명에서 ´23년 90명으로 감소하였고,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 비율은 50%로 ’22년 51%보다 1%p 감소했다.
어르신 사망자는 전년 대비 16명 감소했다. 교통사고 사망자를 연령대별로는 구분하면 70대 이상 사망자가 50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44명, 50대 24명, 20대 19명 순이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이륜차, 택시, 버스 순으로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다. 승용차로 인한 사망자 수가 61명으로 전체 사망자 수 중 34%를 점유하였으며 이륜차 28%, 택시 10%, 버스 10% 순이었다.
서울시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한 원인은 그동안 서울시가 서울경찰청, 자치경찰위원회,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관계기관과 교통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로 분석된다. 이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사망자수가 감소하며 안전한 교통문화가 정착되는 계기가 됐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가 큰 폭으로 감소한 점은 괄목할 만한 성과”라며, “서울시가 세계적인 교통안전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서울경찰청 등 관계기관도 면밀히 협력해 교통사고에 취약한 보행자, 고령자, 어린이 안전 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