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 대학수학능력에도 등장한 '독도' 문항, 대한민국 영역에서 '독도 중요성' 강조...지방정부 노력 결과로 분석, '독도수호중점학교 지원 · 독도 교육 활성화' 지속 추진
- 경북도교육청, 독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 독도 교육 활성화 위한 '교육부 · 지방정부 다양한 노력' 반영된 결과로 분석 - 한국지리 1번 문항, 우리나라의 극서・극동・극남(평안북도 용천군 마안도,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마라도)의 위성영상, 위도와 경도, 면적에 대한 정보 보여주고, 대한민국의 영토와 영해에 대한 이해 묻는 문제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포함해 최근 10년 동안 거의 매년 한국지리에서 ‘독도’ 문제가 출체돼, 경북도(도지사 이철우) 비롯한 지방정부 등의 지속적인 '독도교육 활성화 노력'의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이경곤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최근 일본 정부는 자국의 영토주권 주장을 확대하기 위해 영토주권전시관 리모델링에 나섰으며, 기초지방정부인 오키섬 마을에서는 중학생을 동원하여 왜곡된 독도 영유권 집회를 개최했다”며, “이런 가운데 수능에서 독도 관련 문제가 나오는 것은 언제나 반갑고, 의미 있는 일이며, 경북도는 독도수호중점학교 지원 및 시도 교육청과 독도 교육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도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14일 치러진 2025학년도 대학 수능시험에서 사회탐구영역 한국지리 1번 문항 지문으로 독도가 등장했다. 독도 관련 문제는 이번 수능을 포함해 최근 10년(2016~2025학년도) 동안 한국지리 과목에서만 거의 매년(2018, 2021 제외) 출제됐다.
이번 한국지리 1번 문항은 우리나라의 극서・극동・극남(평안북도 용천군 마안도,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마라도)의 위성영상, 위도와 경도, 면적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고, 대한민국의 영토와 영해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였다.
이에 경북도교육청은 최근 수능에서 독도문제에 대한 출제 빈도가 높은 것은, 독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독도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와 지방정부의 다양한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심정보 서원대 지리교육과 교수는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동해에 있는 독도는 두 개의 큰 섬인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의 부속 도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경도와 위도 관계를 통해 대한민국의 영토와 영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묻는 문제로 대한민국의 영역에서 독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문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