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석탄 심장부’서 탄소감축 선도, '2045년 탄소중립' 가속페달...온실가스 137만톤 감축 '목표대비 105.8%', 전국 지방정부 ‘실행력 1위’
- 최고 배출 지역에서 '최고의 감축' 성과...‘정의로운 전환’ 이끄는 재생에너지 혁신 - 중앙정부보다 5년 앞선, '지방정부 주도' 탄소중립 구현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2024년 한 해 동안 136만 9,9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연간 목표(129만 4,800톤)의 105.8%를 달성해, 석탄화력 발전소가 집중된 ‘탄소 배출 고지대’임에도 대규모 감축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의 감축 성과는 중앙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만들어 낸 결과”라며 “지방정부가 나머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달성하는 핵심 주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OECD는 “충청남도는 전력 생산에 편중된 구조로 인해 국내에서 가장 높은 배출량을 기록해 왔으나, 2024년 한 해에만 137만 톤 가까이 감축한 것은 놀라운 성과”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충남의 ‘실천형 탄소중립’ 모델은, 법·제도적 공백을 메우려는 다른 지방정부에 좋은 본보기”라며 “단순 이벤트가 아닌 연속적이고 책임 있는 추진 체계를 확립해야 2045년 목표를 견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최고 배출 지역에서 '최고의 감축' 성과...‘정의로운 전환’ 이끄는 재생에너지 혁신
충남도는 지난해 4월 출범한 제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해 탄소중립 기본계획 추진 상황을 점검, 부문별 감축 실적을 공개했다.
△건물(118.7% 달성) △수송(103.1%) △농축산(118.7%) △폐기물(168.1%) △흡수원(92.4%) 등 전 부문에서 고르게 목표를 초과하거나 근접 달성했다.
충남도는 산업 현장의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0년 22%에서 2035년 90%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해상풍력, 대규모 태양광, 그린수소 도입이 포함되며, 이미 올해 2월엔 도내 15개 시군과 발전사·기업이 모여 ‘RE100 확대 비전’을 선포했다.
공공부지 유휴 공간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시범 사업도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협약을 맺어 도청 남문 등 5,500㎡에 1.2MW 규모 발전설비를 설치, 생산 전력을 전량 구매하는 방식으로 양측이 ‘윈윈’ 모델을 구축했다.
중앙정부보다 5년 앞선, '지방정부 주도' 2045년 탄소중립 구현
충남도는 중앙정부보다 5년 앞선 204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매년 점검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계획을 보완하는 ‘선제 대응’에 나섰다.
또한, 국가 배출권거래제(K-ETS)가 국내 배출량의 약 79%를 포괄하는 가운데, 지방정부 단위에서의 감축 실적은 거래제 내 인센티브 및 할당량 조정에도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충남도 공공부문은 2023년 이미 중앙정부(36%↓)를 웃도는 39.2% 감축을 기록한 바 있다. 이 ‘선도 효과’는 민간 영역으로도 확장 중이며, 수소·전기차 보급, 주택·경로당 태양광 설치, 주민 수익형 발전소 등 다각적 사업이 동시에 가동돼 있다.
도는 하반기 빅데이터 예측 모델 도입과 ‘스마트 방역관리 시스템’ 유사한 ‘스마트 탄소관리 플랫폼’을 시범 가동해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충남도가 산업·공공·민간을 아우르는 종합 플랫폼 구축으로 2045 탄소중립을 현실로 이끌어낼지, 지방정부 시대 ‘기후 리더십’의 향방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