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시민·전문가 손잡고 ‘It’s 水’ 다진다, 스마트 원격검침 · 고도정수처리 ‘안전’ 격상...'시민 참여형 수돗물 거버넌스' 첫 걸음
- IoT 기반 스마트 원격검침 사업, 고도정수처리시설 확충 - 시 제공 데이터 투명성 높이는 ‘열린 거버넌스’ 모델 제시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수돗물 브랜드 ‘It’s 水’의 안정성에 대해 시민의 눈높이에서 점검받고 전문가와 지혜를 모아, 수돗물 혁신 여정을 전개한다.
대전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가 23일 연 ‘2025년 상반기 수돗물평가위원회 정기회의’에서는 IoT 기반 스마트 원격검침 사업과 고도정수처리시설 확충 계획이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이러한 시민 참여형 수돗물 신뢰도 조사는 단순한 의견 수렴을 넘어, 시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투명성을 높이는 ‘열린 거버넌스’ 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스마트 원격검침 · 고도정수처리...'현장중심 검사' 확대, 시민·전문가 맞손
멀리 떨어진 가정·사업장의 수도계량기까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누수와 불법사용을 즉각 파악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확대를 통해 유해물질 제거 능력을 대폭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첨단기술 도입은 국내 지방정부 중에서도 선도적 행보로, 대전시는 이를 통해 ‘미검침·미수수율’ 감소와 물 공급 안전성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목표다.
평가위원회에 참여한 교수, 시민단체 관계자 등 15명은 현장 중심의 수질검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특히 노후 급·배수관 구간을 중심으로 한 샘플링 강화와, 상수도관 내부 침전물 분석을 위한 정밀 장비 도입을 제안했다.
이 과정에서 수돗물 브랜드인 ‘It’s 水’의 안전성과 청결 이미지를 강화할 다양한 아이디어가 오갔다.
'노후관 교체 · 투명한 정보 공개' 신뢰 회복 열쇠
대전시 전체 급수관의 약 40%가 교체 주기(30년)를 넘겨 노후화된 상태이며, 이에 따른 누수율과 수질 악화 우려가 상존한다.
평가위원들은 예산을 우선적으로 노후관 교체에 투입하되, 교체 진행 상황과 수질 검사 결과를 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 공개할 것을 요청했다.
이러한 투명한 정보 공개는 ‘물 맛’ 논란을 잠재우고, 시민들이 상수도 운영 전 과정을 신뢰하도록 만드는 핵심 수단으로 평가된다.
글로벌 트렌드 접목, '시민 참여형 수돗물 거버넌스' 완성
세계 주요 도시들은 이미 시민 참여형 물 관리 거버넌스를 도입해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은 사용자 관점의 수질평가단을 운영해 수돗물 활용도를 높였고, 캐나다 벤쿠버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데이터를 개방해 주민 주도의 개선책을 모색하고 있다.
대전시의 수돗물평가위원회 확대는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벤치마킹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시민-전문가 협력 모델’을 완성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볼 수 있다.
수돗물평가위원회 정례화...'깨끗한 물 공급 서비스 개선' 동력 마련
대전시는 매년 상·하반기 각 1회씩 수돗물평가위원회를 열어 정책을 점검·보완하고, 그 결과를 연말 종합보고서로 발간할 예정이다.
이 같은 정례화된 절차는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고, 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 공급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동력이 될 전망이다.
예산 확보, 전문 장비 도입, 인력 양성, 시민 참여 채널 운영 등 현실적 과제도 남아 있다. 또한 스마트 검침 인프라 구축에는 초기 설치비와 통신망 운영비가 수반되며, 노후관 교체는 매년 수백억 원의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
대전시는 중앙정부의 특별교부세와 지방채 발행을 병행할 계획이지만, 예산 운용의 투명성·효율성을 담보하기 위한 내부 관리체계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