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소형태양광 · 배출저감 · 바이오가스 재활용' 결실 맺다...'탄소중립' 목표 대비 103% 성과, 5천만 그루 나무 효과 달성
- 건물·수송·폐기물 분야, 총 35만 4천 톤 온실가스 감축...연간 목표치 34만 5천 톤 넘어서 -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 도시 숲 및 자연휴양림 조성 등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 적극 발굴 계획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는 2024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03% 달성하며, 2050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향한 발걸음을 확고히 다졌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이행 점검 결과, 건물·수송·폐기물 분야에서 총 35만 4천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해 연간 목표치인 34만 5천 톤을 넘어섰으며, 이는 20년생 나무 약 5천만 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효과다.
전략적 감축 사업 이끈 성과, 20년생 나무 '약 5천만 그루' 심는 효과
건물 분야에서는 소형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확대해 자발적 에너지 생산량을 높였고, 수송 분야에서는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과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을 통해 감축 효율을 극대화했다.
폐기물 분야에서는 매립가스와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바이오가스를 에너지로 재활용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위원회 점검 · 심의로 투명성 강화…65% 사업 목표 달성, 정책 체계 점검 완료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심의·의결한 이번 점검 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 사업 중 65%가 목표를 이미 달성했고 29%는 순조롭게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수송 분야는 목표 대비 높은 달성률을 보였고, 폐기물 분야에서 가장 많은 감축량을 기록하며 실질적 효과를 입증했다.
2050 비전 향한 다음 단계…친환경 교통 · 자연휴양림 등 신규 프로젝트 준비
대전시는 이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 도시 숲 및 자연휴양림 조성 등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기후위기가 계속될수록 탄소중립은 우리의 생존 전략이자 유일한 대안”이라며 “앞으로도 과감한 정책과 시민 참여를 통해 녹색 전환의 속도를 한층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