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 전국 최초, 민·관 맞손 'PM 지정 위치 대여 · 반납제' 도입...개인형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 '도시 이동성 혁신' 주목

- 민·관 13개 기관 뭉쳐 PM 이용 안전망 구축 - 교육지원청부터 경찰 · 업체까지 유기적 협력으로 실행력 강화

2025-05-21     김미숙 기자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의 선제적 민·관 협력 모델을 통한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모빌리티(PM) 지정 위치 대여 · 반납제'는 PM 이용 확산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도시 이동성 혁신의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으로, 향후 ‘안전하고 편리한 모빌리티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김미숙 기자/화성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의 선제적 민·관 협력 모델을 통한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모빌리티(PM) 지정 위치 대여 · 반납제'는 PM 이용 확산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도시 이동성 혁신의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으로, 향후 ‘안전하고 편리한 모빌리티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지정 위치 대여 · 반납제 도입으로 '무질서 주차 · 안전사고 근절' 기대

‘PM 지정 위치 대여·반납제’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같은 개인형 모빌리티(PM)를 지정된 거점에서만 빌리고 반납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도로와 인도 위 무질서 주차를 방지하고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화성시는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지정 거점 및 거치대를 설치하고, 운영 초기에는 시민 설문과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화성특례시는 21일 시청 상황실에서 정명근 시장을 비롯해 교육지원청, 경찰서, PM 대여업체 등 13개 민·관 기관과 함께 ‘개인형 모빌리티(PM) 지정 위치 대여·반납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김미숙 기자/화성시청)

학생 중심 안전 교육으로 책임 있는 이용 문화 확산

이번 협약에 참여한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은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PM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안전 시티워크’ 체험과 온라인 강의를 통해 헬멧 착용, 주행 속도 준수, 주·정차 지점 확인 등 책임 있는 이용 습관을 길러, 미래 세대의 이용 문화를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역 학교와 연계한 ‘모빌리티 안전 챌린지’를 연 2회 개최해 모범 이용자를 선정·포상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정기 간담회 · 현장 점검 강화로 '문제 신속 대응'

이와 관련해 화성시는 21일 시청 상황실에서 정명근 시장을 비롯해 교육지원청, 경찰서, PM 대여업체 등 13개 민·관 기관과 함께 ‘개인형 모빌리티(PM) 지정 위치 대여·반납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기관들은 분기별 정기 간담회를 열어 현장의 목소리를 공유하고, 제도 운영 과정에서 드러나는 제도적·기술적 보완 사항을 신속히 해결하기로 했다.

화성 서부·동탄경찰서는 도심 주요 교차로와 주택가 밀집 지역에서 불법 주행·주차 단속을 병행하며 시민 안전을 도모하고, 대여업체는 스마트폰 앱 알림과 실시간 거치대 관리 시스템으로 지정 거점 운영의 안정성을 높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