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민간 중심 '우주 비즈니스 모델' 구축...‘대전 우주기술 연구 · 활용 특구’ 지정, 미래 우주경제 선도 가속화

- 민·관 협력으로 구축된 515만㎡ 규모 실증 공간, 고압가스 부품부터 발사체까지 전 주기 실험 가능 - 2025~2029년 총 675억 원 생산 유발 · 389명 고용 창출 기대…2030년대 1조 3천억 잠재효과 전망

2025-05-21     김지수 기자
515만㎡에 달하는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 유성·대덕구 일원 부지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관과 기업이 모여 우주추진용 고압가스 기반 부품의 시험·제작·인증을 전 주기로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된다. (자료=대전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515만㎡에 달하는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 유성·대덕구 일원 부지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관과 기업이 모여 우주추진용 고압가스 기반 부품의 시험·제작·인증을 전 주기로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된다.

우리별 1호부터 누리호까지 한국 우주 역사의 산실이었던 과학수도 대전시가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로 2025년 규제자유특구 최종 선정되며 새로운 변곡점을 맞았다.

규제 완화로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선 개발 전진기지' 도약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기존 규제를 일정 부분 유예·완화함으로써, 민간기업은 시험실 환경을 넘어 실환경에서 부품 제작·시험·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국가 주도의 연구개발 체계를 넘어 민간 주도 기술 실증이 활성화되고, 초기 시장 진입 장벽이 낮아져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우주기업이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다.

우리별 1호부터 누리호까지 한국 우주 역사의 산실이었던 과학수도 대전시가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로 2025년 규제자유특구 최종 선정되며 새로운 변곡점을 맞았다. (자료=대전시청)

2030년대 1조 3천억 규모 경제 파급 효과 목표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는 194억 원의 예산으로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운영되며, 이 기간 동안 약 675억 원의 생산 유발과 389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나아가 ‘2030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 연계해 누적 1조 3천억 원 규모의 장기적 파급 효과를 달성할 계획으로, 지역 경제 성장과 첨단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글로벌 우주도시 도약 위한 전문 인력 양성 · 클러스터 강화 비전

대전시는 이번 특구 지정으로 우주추진 기술의 원천 연구와 실증 인프라를 확보함과 동시에, KAIST·대덕연구단지 등 우수 연구센터와 연계해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글로벌 우주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주산업 역사 발상지인 대전이 민간 주도로 미래 우주경제를 견인할 혁신 플랫폼을 확보했다”며 “지속적인 투자와 협업을 통해 민·관 협력 우주선 개발 시대를 열고, 글로벌 우주도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