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 저출생 역풍 뒤집다, 전국 기초지방정부 유일, ‘출생아수 7천명대’ 돌파...2년 연속 전국 1위, 반도체 · 신도시 낳은 기적

- 국가 평균 0.75명 훌쩍 뛰어넘는 합계출산율 1.01명 기록....수원 · 용인 · 고양 대비 최대 2,000명 이상 앞서가는 압도적 성과 - 청년인구 5년간 2만 명 증가, 1,000명당 혼인율 · 출생아 수 1위...직주근접과 첨단산업 · 신도시 개발이 만든 선순환 인구 정책 모델

2025-05-26     김미숙 기자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인구절벽 위기 속에서도 ‘청년 정착→혼인·출산 선순환’ 모델이 가능함을 입증하며, 전국 지방정부에 새로운 인구정책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사진=김미숙 기자/화성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인구절벽 위기 속에서도 ‘청년 정착→혼인·출산 선순환’ 모델이 가능함을 입증하며, 전국 지방정부에 새로운 인구정책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화성특례시는 지난해(2024년) 출생아 수 7,200명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전국 기초지방정부 1위를 차지했다.

“청년이 정착해야 결혼과 출산이 따라온다”...화성표 인구 대전환 비결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출산율은 복지나 지원금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와 정주 환경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정 시장은 이어 “앞으로도 기업 유치와 도시계획을 연계해 청년이 안정적으로 일하고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고,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결혼과 출산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출산율은 복지나 지원금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와 정주 환경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사진=김미숙 기자/화성시청)

2024년 출생아 수 7,200명...2년 연속 전국 1위 달성

전년(2023년) 6,714명에서 486명(7.2%) 증가해, 전국 3,500여 기초지방정부 중 유일하게 7천명대를 넘어서는 쾌거를 이뤘다.

이 수치는 수원(6,500명), 용인·고양(각각 5,200명) 등 경기도 내 주요 특례시와 비교했을 때 최대 2,000명 이상의 격차를 벌린 압도적인 성과다.

대한민국,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속...화성 ‘반등의 아이콘’으로 떠오르다

전국 평균 합계출산율은 2024년 기준 0.75명으로, OECD 전체 평균(1.62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세계 최저 수준이다.

반면 화성특례시는 1.01명으로 경기도 특례시 중 유일하게 1.0명을 넘겼으며, 지역 간 격차와 저출생 위기 속 ‘반등의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국가적 저출생 흐름을 뒤집으며, 국내 지방정부의 출산정책 우수사례로 부상하는 계기가 됐다.

전년(2023년) 6,714명에서 486명(7.2%) 증가해, 전국 3,500여 기초지방정부 중 유일하게 7천명대를 넘어서는 쾌거를 이뤘다. 이 수치는 수원(6,500명), 용인·고양(각각 5,200명) 등 경기도 내 주요 특례시와 비교했을 때 최대 2,000명 이상의 격차를 벌린 압도적인 성과다. (자료=화성시청)

청년인구 유입부터 혼인·출산까지 잇는 선순환 구조 확립

화성특례시는 청년인구 유입이 출산 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뚜렷하게 구축했다.

2019년 25만 6,101명이던 청년(20~39세) 인구는 2024년 28만 91명으로 2만 3,990명(9.36%) 증가하여 경기도 특례시 중 증가폭 1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청년 정착은 1,000명당 혼인율 2.0%(수원 1.8%, 고양 1.6%)와 1,000명당 출생아 수 25.7명(수원 18.0명, 고양 18.8명)을 견인하며 특례시 내 최고 수준의 결혼·출산 지표로 이어졌다.

반도체 · 모빌리티 중심 첨단산업과 신도시 개발이 만든 ‘직주근접’ 성공 방정식

화성특례시의 경제 기반은 반도체·모빌리티·바이오 등 첨단산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

2022년 기준 지역내총생산(GRDP) 95조 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고, 삼성전자·현대차 남양연구소 등 대기업이 밀집해 평균 임금 수준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여기에 동탄·봉담지구 등 1·2기 신도시 개발을 통해 주거와 일자리가 5분 거리 안에 공존하는 ‘직주근접’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청년 세대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2019년 25만 6,101명이던 청년(20~39세) 인구는 2024년 28만 91명으로 2만 3,990명(9.36%) 증가하여 경기도 특례시 중 증가폭 1위를 기록했다. (자료=화성시청)

전국적으로 확산 가능한 정책 설계...정주 기반·생활 인프라 강화

화성특례시는 보육·교육·주거·문화시설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를 완성했다.

공공 어린이집 20개소 추가,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5,000호 공급, 문화예술 복합공간 조성 등으로 주거 부담과 문화적 니즈를 동시에 충족했다.

이러한 전방위적 정주기반 강화는 다른 특례시와 광역지방정부에도 손쉽게 모방 가능한 정책 설계로 평가된다.

앞으로 다른 특례시와 지방정부가 이 같은 전략을 적극 벤치마킹해 대한민국의 저출생 위기를 함께 극복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