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김영록 지사 “재생에너지 OECD 38개국 최하위, 태양광·풍력 확대해야…"재생에너지가 미래, 전남이 선제적으로 나서겠다"
- OECD 38개국의 2024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평균 35.4%...한국은 10.5%로 최하위권 - 태양광 발전단가 최근 3년만에 90% 하락 한전 전기요금보다 싸고, 해상풍력도 같은 기간 63%나 하락...발전단가 저렴하고 안정적 에너지원 강조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가 재생에너지 확대의 시급성과 필요성을 다시금 강조하며 주목받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재생에너지가 곧 미래"라며 "태양광과 풍력은 점차 가장 저렴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므로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27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열린 실국 정책회의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비중이 크게 낮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의 2024년 재생에너지 평균 발전 비중은 35.4%인 반면, 한국은 10.5%로 최하위권이다.
국가별로 유럽연합(EU) 46.9%, 덴마크 88.4%, 포르투갈 87.5%, 독일 62.7%, 미국 22.7%, 일본 22.0%, 중국 39.6% 등이다.
김 지사의 발언은 단순한 원론적 차원을 넘어 세계적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한국의 뒤처진 현실을 냉철히 진단한 데 그 의미가 있다.
김영록 지사는 "이처럼 국제사회 흐름에 비해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턱없이 낮다"며 "전남부터 선제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태양광·풍력 발전 기술적 진보로 발전단가 계속 낮아질 것”
김 지사는 "태양광은 2010년 대비 2023년 발전단가가 90% 하락해 한전의 전기요금보다 낮아졌고, 해상풍력도 같은 기간 63%나 하락했다"며 "이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며, 재생에너지는 더 이상 고비용 대안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발언은 재생에너지를 단지 환경적 필요를 넘는 경제적 선택으로 강조하며, 전남이 국내 재생에너지 전환의 선도적 모델로 나아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회의에서 김 지사는 에너지 전환 외에도 도민들의 적극적인 21대 대통령 선거 참여를 독려했다.
그는 "막연한 참여 요청이 아닌, 실질적이고 실사구시적 방법이 필요하다"며 "소상공인 간 가게를 돌봐주는 품앗이나, 거동이 불편한 이웃을 돕는 방식 등 선거법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적극적인 참여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거 이후 정국 변화에 대한 대비도 주문했다. 김 지사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정책 변화가 일어날지 면밀히 분석하고, 분야별 대응책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며 선제적 대응을 강조했다.
또한 안전사고 감소와 자연재해 대응에 대한 경각심도 일깨우며, 6월 한 달 동안 홍수, 산사태, 태풍 등 여름철 재해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독려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도정 성과를 조명하며 공직자들을 격려했다. 고흥 우주발사체 시험 인프라 구축, 분산에너지특구 최종 후보 선정, 지역활력타운 공모 선정, 기후위기 대응 국가 연구개발 140억 원 확보, 매니페스토 공약이행 평가 3년 연속 최우수 등 굵직한 성과들이 나왔다.
특히 공약 이행률은 64%로 전국 평균보다 12.38%p 높은 수준으로, 김 지사는 "이는 모든 실국의 헌신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도민과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