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디지털 전환으로 장애인 주차표지 혁신, 전국 최초 ‘디지털 발급 시스템’ 전면 도입...‘생활밀착형 디지털 전환’ 선도

- 수기 발급의 위·변조·가독성 문제 해소 위해 RPA 기반 자동화 시스템 구축, 민원 처리 시간 60% 단축 기대 - 5월 시범운영 통해 불편 요소 선제 보완 완료...7월 1일 전면 시행으로 ‘디지털 뉴딜’과 복지 행정 융합 가속화 예고

2025-06-30     김미숙 기자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장애인 주차표지 발급의 디지털 전환으로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과 시민의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고 평가하며, “위·변조 방지 기능을 통해 교통약자 보호와 안전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김미숙 기자/용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디지털 장애인 주차표지 발급 시스템'은 복지 행정의 디지털화를 선도하는 혁신 사례로, 수기 방식의 한계와 보안 취약성을 해소하며 민원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전망이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장애인 주차표지 발급의 디지털 전환으로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과 시민의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고 평가하며, “위·변조 방지 기능을 통해 교통약자 보호와 안전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 최초 디지털 장애인 주차표지 발급으로 행정혁신의 새 지평 연다

업무자동화(RPA) 기반 자동화와 전용 라벨 프린터 결합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교통약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안전장치를 강화했으며, ‘디지털 뉴딜’과의 연계로 향후 지방정부 전반의 디지털 혁신에 강력한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용인특례시는 오는 7월 1일부터 관내 38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장애인 주차표지를 전면 디지털 방식으로 발급한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및 「주차장법」에 따른 주차표지는 그동안 담당 공무원이 수기로 작성해 왔으나, 위조‧변조 우려와 기재 오류, 낮은 가독성 등 민원 불편과 보안 취약성이 지속 제기돼 왔다.

이번 시스템 도입은 ‘디지털 뉴딜’ 정책과도 궤를 같이하는 선제적 복지 행정 혁신 사례로 평가된다.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디지털 장애인 주차표지 발급 시스템'은 복지 행정의 디지털화를 선도하는 혁신 사례로, 수기 방식의 한계와 보안 취약성을 해소하며 민원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전망이다. (사진=김미숙 기자/용인시청)

RPA 자동화와 전용 라벨 프린터 결합으로 업무 효율과 보안 동시 확보

새로 구축된 디지털 발급 시스템은 업무자동화(RPA)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인등록 정보와 차량 정보를 연동하고, 전용 라벨 프린터를 사용해 고내구성 라벨지를 출력·부착한다.

이 과정에서 정보 입력부터 출력까지 전 과정이 자동 처리돼 수기 시 5분가량 소요되던 발급 시간이 2분 이내로 단축될 전망이며, 라벨 자체에 QR코드·위변조 방지 홀로그램이 포함돼 보안성이 크게 강화된다.

이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 RPA 활용 가이드라인에 따른 구축 사례로, 연간 약 1만 건의 발급 처리 효율 개선이 기대된다.

3개 동 시범운영으로 만족도 높인 뒤 전면 확대, 현장 보완 사항 즉시 적용

용인특례시는 5월 12일부터 3개 행정복지센터에서 시범운영을 실시한 후 업무 담당자 및 민원인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간소화 ▲라벨 출력 품질 개선 ▲시스템 연동 안정성 보강 등의 의견을 반영해 즉시 보완을 마쳤다.

이 과정을 통해 발급 오류율은 기존 대비 90% 감소했으며, 민원인 대기 시간도 평균 40%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의 이번 사업은 ‘생활밀착형 디지털 전환’의 모범 사례로, 시는 향후 자동차 등록·복지증 발급 등 다른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