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연 10억 규모 '생활밀착형 소상공인 지원', 전국 최초 '소상공인 카드결제 통신비' 보조...8천여 곳, 최대 11만 원 경감
- 연매출 1억 400만 원 미만 8,000개 점포, 7월 7일~8월 6일 접수…8월 20일까지 선착순 지급 - 총예산 6조 6,771억 원 중 10억 원 배정, 산업·중소기업예산(2,885억)의 0.35% 투입해 경영 부담 해소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소상공인의 경영 환경 개선와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화를 위해, 카드 결제용 단말기 운용에 드는 유·무선 통신비를 지원하는 ‘소상공인 카드결제 통신비 지원사업’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대전시는 이번 사업 평가를 바탕으로 내년 참여 규모 확대를 검토하는 한편, 결제 수수료 절감, 온라인 판로 개척 지원 등 후속 대책도 병행해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에 힘쓸 계획이다.
‘경영 리스크’ 통신비, 직접 지갑 열어 덜다
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인 상점 8,000개를 대상으로, 한 업체당 최대 11만 원을 10억 원의 시 예산으로 지원한다.
접수 기간은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이며, 지원금은 선착순으로 접수된 업체에 8월 20일까지 일괄 지급된다.
생활밀착형 소상공인 지원, 더 낮춘 접근성
지원 대상은 2024년 7월 1일 이전부터 사업장을 운영해 온 소상공인으로, 온라인 접수만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대전시 중소기업지원 포털 ‘대전비즈(www.djbea.or.kr/biz)’에서 세부 요건과 신청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380-3034~3039)을 통해 직접 안내도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접근성 확대는 현장 행정 부담을 줄이고,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별도 콜센터 운영으로 지원 문턱을 더욱 낮춘 점이 특징이다.
6조 6,771억 예산 속 10억의 선택, 중기 예산 효율 극대화
2025년 대전시 본예산 6조 6,771억 원(일반회계 5조 5,470억 원) 중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 예산은 2,8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896억 증액됐다.
이 가운데 10억 원을 카드결제 통신비 지원에 배정해 전체 중기 예산의 약 0.35%를 투자함으로써,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은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해소에 전략적·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임대료·인건비 지원과 시너지, 민생경제 사각지대 최소화
이번 통신비 지원은 대전시가 이미 확대해 온 임대료·인건비 지원과 병행된다. 지난해 1회 30만 원이던 소상공인 임대료 지원은 올해 2회 최대 60만 원으로 늘어났으며, 인건비 지원 기준 제한을 대부분 폐지해 더 많은 업체가 혜택을 누리고 있다.
권경민 대전시 경제국장은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 소상공인 부담 완화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길 바란다”며 “하반기에도 경영 여건 안정과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촘촘한 지원책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