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래형 분산 전원 시대' 개막 예고, 국내 최초 '공유형 ESS'로 에너지 혁신 물꼬 튼다...'에너지 자립' 전략적 도약
- 심야 저렴 전력 5MWh 저장 뒤 여름철 피크 시간대 방출…공공·민간 공동체 베이스 에너지 관리 모델 제시 - 전력망 안정화와 요금 절감, 민관협력의 새로운 이정표…‘경기 북부 대개조’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 전망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경기도(도지사 김동연)가 국내 최초로 추진하는 공유형 ESS(에너지저장장치) 실증사업은 분산 전원과 지역 에너지 자립을 향한 전략적 걸음으로, 향후 전력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전기가 될 전망이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본 사업은 공공이 선도하고 민간이 확산하는 ‘민·관 협력’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에너지 신사업 발굴과 미래산업 성장을 위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공공과 민간, 초연결 에너지 생태계 첫발...2026년부터 본격 실증
7월 8일 오후 3시, 고양어울림누리에서 경기도·고양특례시·한국전력공사·LS일렉트릭 4개 기관은 국내 최초 공유형 ESS 실증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공공기관과 민간 수요처 공동 참여’, ‘상호 인센티브 공유 구조 설계’, ‘현장 실증을 통한 데이터 기반 에너지 모델 구축’ 등의 핵심 내용이 담겼으며, 2025년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하고 2026년부터 본격 실증에 들어간다.
심야 전기는 모아 두고, 낮엔 효율적으로 방출하는 5MWh 혁신
이번 사업의 ESS 용량은 총 5MWh(배터리 용량 기준)로, 심야·새벽 시간대 요금이 저렴할 때 전력을 충전하고, 여름철 한낮 등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피크 타임’에 저장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 과정을 통해 전력망의 안정성 강화와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동시에 꾀한다는 계획이다.
32억 원 예산 구조로 보는 민 · 관 · 지방정부 협력 모델
총사업비 32억 원은 경기도·고양시가 지원하는 ‘스마트 ESS·EMS 설치 지원사업’ 5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국비·지방비·민간자본 27억 원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 예산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민간 자본과 기술력을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공유형 금융·운영 모델’을 실험하게 된다.
정전 예방과 요금 안정화, 에너지 자립의 전략적 도약
공유형 ESS는 다수 수요자가 공동 참여해 인센티브를 나누는 구조로, 정전 사고 예방은 물론 전력 수급 불균형 해소에 기여한다.
실제로 ESS 충·방전 시 전력망 부하를 분산시키면 대형 정전 위험이 낮아지고, 참여 기관들은 심야 요금 할인분만큼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경기 북부 대개조'의 에너지 허브, 고양에서 시작된다
이번 실증사업은 ‘경기 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고양시에서 출범한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크다.
경기북부권은 수도권 전력 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이지만, 동시에 신재생 에너지 잠재력도 높아, 공유형 ESS 모델이 성공하면 전국 확산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