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대전광역시] '3백만 넘는 메가시티' 향한 주민 목소리, '대전·충남 행정통합' 10명 중 6명 공감...'대규모 경제 · 행정 혁신' 가속
- 3.78백만 대규모 통합 시너지에 기대감 고조 - 서북권·동남권 고른 지지, 중·장년층·자영업자 참여도 두드러져 - 지역정체성 재설계와 균형발전의 새 이정표
[한국지방정부신문=박상대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 · 충남도(도지사 김태흠) 행정통합에 대한 '주민 65% 공감' 결과가 나와, 지난달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가 마련한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 국회 발의를 앞당기는 근거가 될 전망이다.
국회와 행정안전부의 후속 검토 제안 이후, 12월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한 ‘속도전’이 본격화하면서, 대전·충남 주민의 ‘공감’이 현실 정책으로 구현되는 관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통한 인구·경제 규모가 확대된 메가시티 모델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 재정 분권 실현, 균형 발전 촉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국리민복(國利民福)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7월 11~14일 대전·충남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온라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통합 추진에 공감’한다고 답했다(매우 16.9%, 다소 48.1%).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이는 주민 다수가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행정 효율성 제고라는 통합 명분에 동의함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충남 서북권 77.3%, 동남권 71.1%가 통합에 가장 큰 공감대를 보였고, 대전 동·서·중구 등 도시권에서도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
연령대별로는 60~69세 72.9%, 40대 69.1%가 높은 동의율을 나타냈으며, 직업별로는 자영업자 76.3%, 무직·은퇴자 72.9%**가 특히 통합 효과를 기대했다.
이 같은 응답 특성은 ‘지역 기반 소상공인 생태계 강화’와 ‘은퇴 이후 생활 인프라 확충’에 대한 주민 수요가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전(1,639,601명)과 충남(2,136,632명)의 인구를 합하면 약 3,776,233명으로, 통합체 출현 시 서울·부산·인천에 이은 4위 규모의 메가시티가 탄생하게 된다.
응답자 중 65.3%는 “통합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 답했으며, 이 중 88.9%는 구체적 산업·관광·교통 인프라 연계 강화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는 인구·재정 규모 확대를 통한 재정 자립도 제고와 기업 유인력 강화를 의미한다.
전체 응답자의 60.7%는 “2026년 지방선거 이전에 통합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고 답해, 통합 동력에 날개를 달았다. 통합 찬성층의 81.5%가 조속한 추진을 지지했다.
정부·여당 공약인 ‘지역 주도 통합 및 특례 인센티브 제공’과 맞물려 법제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창기 · 정재근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은 단순 구역 결합이 아닌, 지역 정체성과 발전 방향, 주민 자긍심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