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해안 석탄 굴뚝을 '미래 에너지 혁신 클러스터'로...‘미래에너지 파크’ 구축 첫 발, '수도권 탄소중립 전환' 서막 연다
- 11개 기관 손잡고 발전·에너지 기업 컨소시엄 결성, 석탄기반 영흥발전본부에 미래산업 싹 틔우다 - 사전조사 단계부터 주민 참여형 수익모델·교통인프라까지, 종합적 로드맵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의 청사진 그리다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수도권 전력의 20%를 공급해온 5,080MW 용량의 영흥발전본부를 미래에너지 혁신 클러스터로 재탄생시키려는 ‘영흥 미래에너지 파크’ 구상이 첫발을 뗐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신산업 육성·미래형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지역 제조기업과 동반성장을 이루겠다”고 강조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21.6% 목표와 걸맞은 선제적 전환 전략
영흥도는 과거 석탄화력 중심지에서 해상풍력·태양광·수소 저장·수송 등 다중 기능이 어우러진 미래에너지 파크로 변모함으로써, 국가 탄소중립 여정의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남동발전·한국석유공사 등 공공기관부터 삼성물산·GS에너지 등 민간 주요 에너지 기업까지 총 11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7월 21일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영흥발전본부 일대를 에너지 전환 전진기지로 탈바꿈할 채비를 갖췄다.
지역 · 산학연 · 주민 참여형 수익모델로 ‘상생 전환’ 구현
컨소시엄은 사업 발굴·타당성 분석뿐 아니라, 조성 사업비·투자유치 방안, 주민 참여형 수익사업 모델 개발, 교통인프라 확충 방안까지 포괄적으로 검토해 ‘미래에너지 파크’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한다.
인천연구원·인천테크노파크 등 산학연 기관이 참여해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과 지역 효과 분석을 수행하고, 주민 설명회를 통해 수익 배분 구조를 사전에 설계함으로써 에너지 전환 과정이 지역사회에 이익을 환원하도록 설계된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경쟁력 강화 시그널...국가 에너지 지형 변곡점 전망
인천시는 올해 말까지 사전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시가 이 사업을 통해 무탄소 발전과 해상풍력 등 미래에너지 산업을 선제적·종합적으로 육성하면, 수도권 내 에너지 전환 컨트롤타워로서 위상이 강화될 전망이다.
한편, 정부가 2030년까지 발전원 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1.6%로 높이기로 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발맞추어, 인천시는 사전타당성 조사 단계부터 해상풍력·태양광·수소 등 다변화된 에너지원을 검토한다.
정부는 특히 해상풍력을 통해 태양광 대비 비중을 6:4로 조정하는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했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 증가의 95%가 태양광·풍력에 집중될 것이라 전망해, 지역 차원의 선제 대응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