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미래형 모빌리티로 경북 북부 '공항경제권' 탄생 예고...대구경북공항 배후지, '스마트 인프라 · 산업 융합 도시' 구현

- 국비 확보해 의성 일원서 미래 교통·산업 통합 구상 마무리...‘모빌리티 특화도시’ 공모 선정으로 첫발 - 통합 교통허브·스마트 물류·친환경 교통망…5대 방향·5단계 로드맵으로 글로벌 공항경제 거점 도약

2025-07-24     이상금 기자
경북도(도지사 이철우)는 24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미래형 모빌리티 특화도시 기본구상 수립’ 최종 보고회는 대구경북공항 배후지 공항신도시가 첨단 교통수단과 스마트 인프라, 첨단산업이 융합된 미래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제시했다. (사진=이상금 기자/경북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공항경제권’의 새로운 닻을 내린 미래형 모빌리티 특화도시가 경북 북부권의 산업·교통 혁신을 선도할 전략적 분기점을 선사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도지사 이철우)는 24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미래형 모빌리티 특화도시 기본구상 수립’ 최종 보고회는 대구경북공항 배후지 공항신도시가 첨단 교통수단과 스마트 인프라, 첨단산업이 융합된 미래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제시했다.

공항신도시 개발로 예상되는 물류·유통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2023년 국토교통부 ‘모빌리티 특화도시’ 공모사업에 전국 지방정부 중 선제적으로 선정된 경북도는 국비 지원을 확보하며 의성군 일원을 공항신도시 개발의 시험대에 올렸다.

이로써 공항이라는 국가 기반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균형발전과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공항경제권’ 구상이 실질화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교통체계 혁신을 향한 첫 번째 축은 사용자 중심의 통합 교통 허브 구축이다. 도는 고밀도 전기버스, 자율주행 셔틀, 수요응답형(DRT) 교통 등 9개 분야 31개 서비스를 통합하는 스마트 환승거점을 제안했다.

시범운영 단계서부터 시민 피드백을 반영해 환승 동선을 최적화하고, 공항과 도심 간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도시 공간구조와 모빌리티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다목적 스마트 공간이 제안됐다. 공항신도시 중심 상업지구와 물류단지를 잇는 공유 모빌리티 거치대·전기차 충전소·수소 연료전지 스테이션을 통합 배치해, 물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공공 여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했다.

구상안은 의성 구도심, 도청신도시, 공항, 대구 도시권을 연결하는 5개 레벨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서비스 격차를 최소화한다.

단계별로 접근성을 강화해, 대구경북권 전역의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미래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해 모듈형 시설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하는 적응형 공간설계를 도입한다.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반영해 정책 의사결정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운영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재생에너지 설비와 연계한 친환경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탄소 배출 저감 목표를 설정했다. 태양광·풍력 연계 충전소와 전기·수소 교통수단 보급 가속화로 지속가능한 교통 중심도시 조성에 주력한다.

단계별 전략은 ①2026~2027년 의성 구도심 실증, ②2028~2029년 도청신도시–공항–구도심 연계, ③2030~2034년 공항신도시 주요 권역 개발, ④2035~2039년 대구·경북 전역 확산, ⑤2040년 이후 전국 확대의 로드맵으로 설계됐다. 이를 통해 단계적 실행과 성과 계량화가 가능해졌다.

보고회에는 국토교통부, 의성군, 한국교통안전공단, 경운대, 경북IT융합기술원, 부산연구원, 현대차 셔클, ㈜오노토머스 A2Z, 에스트래픽㈜, ㈜엠큐닉 등 교통·산업 전문가 50여 명이 참석해, 실증사업 설계와 중장기 전략에 대해 심도 있게 토론했다. 이들의 협력은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높이는 촉매제가 될 전망이다.

경북도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포털을 통해 시민 아이디어를 실시간으로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참여형 거버넌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시민과 기업이 함께 운영 과정에 직접 참여하면서 정책 완성도를 높이는 혁신 모델이 기대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 구상이 실행되면 인프라 구축과 운영 과정에서 수천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민간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설계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도는 이를 위해 국책연구기관과 협업해 중장기 경제효과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 같은 모델이 전국 확산의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