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유성구] 책방이 문화 품다, 전국 최초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 제정 · 시행' 성과 빛나...지역서점, '공동체 복합적 플랫폼' 재탄생

- 지역서점의 사회적 진화 실험...독서 생태계의 중심으로 떠올라, 문화와 공동체 엮다 - 매니페스토 4연패까지, 지역문화정책 롤모델 자리매김 - 주민 친화형 서점 혁신, 책으로 연결되는 마을의 미래 열다

2025-07-30     김미숙 기자
유성구는 지난 2019년 전국 최초로 ‘지역서점과의 협력 조례’를 제정하며 지역 내 독서 기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시작했고, 2024년에는 이를 확대 개정한 ‘지역서점 활성화 및 지원 조례’를 시행하면서 지역 서점 생태계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사진=이상금 기자/유성구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대전 유성구(구청장 정용래)가 지역서점을 단순한 책 판매처에서 벗어나 주민과 문화, 그리고 공동체가 어우러지는 복합적 플랫폼으로 탈바꿈시키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유성구는 지난 2019년 전국 최초로 ‘지역서점과의 협력 조례’를 제정하며 지역 내 독서 기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시작했고, 2024년에는 이를 확대 개정한 ‘지역서점 활성화 및 지원 조례’를 시행하면서 지역 서점 생태계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지역서점은 단지 책을 사고파는 공간을 넘어, 이웃이 만나고 생각을 나누는 생활 속 문화의 중심이자 마을 공동체의 심장부”라며 “앞으로도 서점을 중심으로 한 문화 생태계를 조성해 유성구를 지식과 공동체의 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법적 장치는 지역서점이 단순한 상업 공간이 아닌 마을의 문화사랑방이자 주민 생활 속 문화 확산의 거점으로 기능하도록 돕는 기반이 됐다.

특히 유성구는 특히 인증부터 포인트제까지 책과 사람을 잇는 촘촘한 정책 설계로 지역서점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구는 ‘지역서점 인증제’를 통해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서점을 행정적으로 지정하고, 이들 서점에 우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공도서관의 도서 구입 시 인증 지역서점에서 우선 구매하도록 하는 ‘우선구매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또 하나의 눈에 띄는 정책은 ‘독서포인트제’다. 주민이 지역서점에서 책을 구입하거나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포인트를 지급하는 이 제도는 단순 독서 장려를 넘어, 주민과 지역서점 간의 일상적인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포인트 지급 건수는 1만 건을 넘어서는 등 실효성 있는 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로써 유성구는 책을 매개로 한 공동체 실험으로 서점이 일상의 무대가 되는 환경을 만들어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유성독서대전’과 도서와 피크닉을 접목한 ‘북크닉(Book+Picnic)’은 책을 통해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공공도서관과 지역서점이 협업하여 작가와의 만남, 북토크, 글쓰기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평균 85% 이상의 참여율을 기록하며 지역문화에 대한 주민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서점이 책만을 파는 곳이 아니라 사람과 이야기가 오가는 ‘마을의 문화무대’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 같은 유성구의 정책은 전국적 수준에서도 인정받았다. 최근 열린 ‘2025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는 전국 159개 기초지방정부가 제출한 401건의 정책 사례 중, 유성구의 ‘지역서점 활성화’ 정책이 공동체 강화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4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는 전국 최초 조례 제정이라는 선도적 행보부터,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 지역민의 실질적 참여를 이끌어낸 정책적 성과까지 다층적인 성과가 통합된 결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