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시] 전국 최초, 친환경 저상 수요응답형 ‘똑버스’ 운행, '이동권 평등' 구현...동(洞) 지역으로 확대, '모두의 이동권 시대' 개막
- AI 기반 DRT ‘똑타’ 앱 호출로 동 주민 접근성 획기적 개선 -친환경 저상버스 7대 투입…교통약자도 불편 제로 목표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기존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Driveless Responsive Transit, DRT) 체계에는 휠체어 리프트 의무 규정이 없었으나, 경기 광주시(시장 방세환)가 이 부분을 선제적으로 보완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전국 최초로 전면 보장했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저상형 똑버스를 통해 교통약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차별 없는 교통 환경 조성과 지역 맞춤형 대중교통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친환경 저상버스, 이동권 평등 구현의 상징...교통약자 편의 대폭 강화
광주시는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DRT) ‘똑버스’의 동 지역 확대 운행을 기념하며, 전국 최초로 25인승 친환경 중형 저상버스 7대를 투입한다.
저상버스는 승강설비를 통해 휠체어·유모차·노인·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승하차를 지원하며, 전기·하이브리드 모델로 배출가스 제로에 가까운 친환경 운행을 실현한다.
전용 앱 호출로 노선·시간 구애 없이 맞춤형 이동
이와 관련해 광주시는 오는 8월 4일부터 전용 앱 ‘똑타’를 통해 호출 시 노선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운행되는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DRT) ‘똑버스’를 농촌·교통취약 읍면 지역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신규 택지지구인 탄벌·장지동 등 도심 동(洞) 지역까지 확대 도입한다.
그간 ‘똑버스’는 읍면 지역에서만 제한 운영됐으나, 2021년 제정된 ‘스마트도시법’ 규제 특례 실증 지역 지정으로 제도적 장벽을 넘어 도시 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로써 노선 버스가 미치지 못했던 도심 외곽 주민들도 스마트폰 호출 한 번으로 손쉽게 탑승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DRT 확대로 개인 차량 이용 감소·탄소배출 저감 기대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는 효율적인 배차로 개인 차량 이용을 대체해 교통 혼잡과 탄소 배출을 동시에 줄이는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경기도 ‘똑버스’ 도입 이후 개인 차량 이용 횟수가 평균 2.8회에서 1.59회로 감소해, 연간 약 478.7톤의 CO₂ 감축 효과를 거두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DRT가 기존 노선버스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교통 소외 지역에 적정 수준의 운행을 제공하며, 플랫폼형 DRT 모델이 미래형 교통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코티.
광주 ‘똑버스’도 이런 탄소중립 수요를 충족하며 지역 교통의 지속가능성을 한층 높일 전망이다.
기존 환승 할인과 동일 요금 체계로 시민 혼란 최소화
‘똑버스’는 요금 체계를 시내버스와 동일한 1,450원으로 설정하고, 환승 할인(1회 환승 시 350원 할인)을 그대로 적용한다.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운행하며 호출 마감은 오후 11시 30분까지, 현금 결제 없이 전용 앱 ‘똑타’ 사전 예약만 가능하다.
이 같은 요금·환승 체계의 완전 연계는 시민들의 요금 부담을 최소화하고, 복잡한 할인 규정을 앱 하나로 관리할 수 있게 해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DRT는 이러한 고정 노선의 한계를 뛰어넘어 특정 수요가 발생하는 시간·장소에 맞춰 운행하는 ‘맞춤형 교통’으로, 대도시권에서도 고려할 만한 보완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주 ‘똑버스’ 동 지역 확장은 도시형 DRT의 가능성을 입증하며, 다른 광역시 및 기초지방정부로의 확산을 이끄는 선도 모델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