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전국 최초 도입 ‘공사장 안전지수제’ 평균 81.4점 성적 거둬...우수현장 빠르게 확대, ‘안전문화 정착’ 징후 보이다
- 57개 공공공사장 277회 불시평가로 드러난 실무 성과...우수등급 1분기 2곳 → 2분기 9곳으로 급증 - 25,000건 사고원인 빅데이터에 기반한 7영역·24지표의 실시간 관리, ‘예방 중심’ 현장운영 촉진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한 전국 최초의 ‘공사장 안전지수제’(이하 안전지수제) 상반기 운영 결과는 평균 81.4점(57개 공공 공사현장, 총 277회 평가)으로 집계돼 전반적으로 ‘양호’한 성적표를 보였다.
특히 ‘우수(90점 이상)’ 등급 공사는 1분기 2곳에서 2분기 9곳으로 늘어나는 등 우수현장의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점검 중심의 관리에서 참여·예방 중심의 안전문화 정착으로 방향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징후가 확인됐다.
‘안전지수’, 가시적 변화...‘데이터 기반, 현장 중심’ 지표로 사고예측 역량 끌어올리다
안전지수제는 서울시가 과거 주요 재해 원인 2만5000건을 분석해 마련한 평가체계에 근거한다. 총 7개 영역, 24개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단순한 점검 체크리스트를 넘어 ▲관리자의 직무수행 능력 ▲작업자 안전의식 ▲고위험 작업 관리 역량 등 ‘사람·조직·공정’ 전반을 정량화해 종합평가한다.
이 평가는 지난해 8월 시범운영을 거쳐 올해 1월부터 매월 불시평가로 정례화되었고, 평가표와 세부항목은 서울시 건설알림이(cis.seoul.go.kr)를 통해 관련 자료와 항목을 공개하고 있다. 투명성 확보와 공개는 현장 자율성과 외부 감시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설계적 특징이다.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안대희 본부장은 공식 발표에서 “안전지수제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공사장의 실질적 안전수준 향상과 사고 예방으로 이어지는 제도”라며 12월까지 평가지표와 운영기준을 강화해 현장과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상반기 수치(평균 81.4점)와 우수현장 확대는 제도 설계의 유효성을 보여주는 초기신호로 읽힐 수 있으며, 향후 지표 보완과 현장별 지원정책이 병행될 때 ‘안전문화의 제도화’라는 더 큰 성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현장 사례와 운영 원리, 높은 점수는 ‘참여’와 ‘체계’에서 나왔다
상반기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곳은 국제교류복합지구 도로개선사업 2공구(93.4점)와 1공구(92.8점)였다.
해당 현장들은 안전관리 체계가 정교하게 갖춰져 있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 참여가 일상화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시는 이런 우수현장에 대해 향후 점검 면제·연말 표창 등 인센티브를 부여해 자율적 안전관리를 촉진할 계획이며, 반대로 60점 미만(매우 미흡) 판정을 받은 현장(상반기 1곳)에 대해서는 특별점검과 교육을 통해 개선을 유도했다.
이러한 인센티브·제재 병행 방식은 ‘성과 유인(positive reinforcement)’과 ‘위험 차단’ 전략을 동시에 적용하는 운영 원리라 할 수 있다.
안전지수는 ‘문화’ 변화의 촉매...‘평가→피드백→인센티브·개선’ 순환, 실무로 연결
안전지수제의 도입과 초기 성과에 대해 안전보건 분야의 연구·정책 자료들은 지표 기반 평가가 현장의 참여도와 자율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한다.
안전보건공단(KOSHA) 연구계획 및 관련 선행연구는 현장 단위의 안전수준 지수화가 근로자 참여와 안전활동 지속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정리하고 있어, 서울시의 결과는 이론적 기대와 궤를 같이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동시에 국가 차원에서는 건설업이 산업재해 발생에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통계가 있어, 공공발주처 차원의 체계적 관리 강화는 산업 안전 개선의 중요한 축으로 평가된다.
제도적 관점에서 보면, 서울시의 안전지수제는 ‘평가→피드백→인센티브·개선’의 순환을 실무로 연결한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