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서울광장에 몰린 '한가위 직거래의 힘', 전국 최대 규모 '서로장터'연다...'추석 장바구니 부담' 한 번에 낮춘다

- 16년의 상생 경험을 결집한 대규모 직거래 축제, 9월 24~26일 3일간 서울광장서 열려...농수특산물 최대 30% 할인과 풍성한 체험 프로그램 제공 - 모바일 지역화폐 ‘서울페이’ 도입으로 지역상품권 결제 편의성 확대...약 100개 부스에서 서울사랑상품권·일부 자치구사랑상품권 사용 가능

2025-09-24     김미숙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서울광장에서 ‘추석맞이 서로장터’를 열어 전국의 우수 농수특산물을 한자리에 모으고, 품목에 따라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자료=서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전국 최대 규모의 '서로장터'가 단기간의 할인 행사 이상의 가치, 즉 도시 소비자와 지역 생산자가 신뢰를 기반으로 만나는 플랫폼을 재확인시켜줄 전망이다.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서울광장에서 ‘추석맞이 서로장터’를 열어 전국의 우수 농수특산물을 한자리에 모으고, 품목에 따라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이 행사는 10개 광역지방정부와 전국 96개 기초지방정부가 추천한 상품(보도자료 기준 1,000여 개 품목)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첫날 개장시간은 오후 14시, 개막 행사는 같은 날 오후 17시에 대형 퍼포먼스와 문화공연을 포함해 공개된다.

직거래장터의 핵심 효과는 소비자 체감가격과 신선도에서 나타난다. 직거래·로컬푸드 관련 연구들은 통상 소매 유통보다 직거래장터에서 7~10% 안팎의 가격 절감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유통단계 축소로 생산자 소득 안정과 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가 동반된다고 지적한다.

할인 폭(최대 30%)과 대규모 품목 구성은 명절 장바구니 부담을 완화하는 즉시적 효과를 기대하게 하며, 서울페이 도입과 스토리텔링형 판매는 재방문과 장기적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높인다.

상생의 장(場)으로서의 기능...생산자는 판로, 소비자는 합리적 선택

서로장터의 기획 의도는 단지 ‘할인 행사’에 그치지 않는다. 서울시는 이 행사를 통해 지역 농가의 직거래 판로를 지속적으로 열어주고, 도·시·군의 홍보를 결합해 ‘지역 알리기’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

행사 기간 내 각 지방정부 홍보부스와 무대 상영, 농가 도슨트(현장 해설)와 ‘신선씨의 소개팅’ 같은 농가 콘테스트 등 스토리텔링형 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생산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장기적 고객층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뚜렷하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직거래의 ‘신뢰 형성’과 ‘재방문율’ 제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과거 사례에서도 정례화·우수 입지·지방정부 지원이 직거래 장터 성공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결제·편의성 개선...서울페이(서울Pay+) 결제 시스템을 도입

올해 장터에서는 서울페이(서울Pay+)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서울사랑상품권과 일부 자치구사랑상품권(성북·노원 제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모바일 지역화폐의 도입은 지역상품권 보유자의 장터 참여를 유도해 소비 유입을 늘리고 결제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지역상품권은 통상 가맹점 등록·가맹구역 규정 등 운영상 조건이 있어 현장별 사용 가능 범위는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사용 가능 부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서울페이(서울Pay+)의 결제·가맹 정보는 서울시 안내와 공공데이터로 확인 가능하다. 

운영·체험 프로그램과 관람 안내...장터는 구매뿐 아니라 체험과 축제

장터는 단순 판매를 넘어 전통놀이(윷놀이·투호·제기차기 등), 포토존, 캐리커쳐, 농산물 가격 맞추기·손질대회 등 참여형 프로그램을 대거 마련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명절 분위기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25~26일에는 판매농가와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농가 콘테스트’와 농가 도슨트 라이브 중계로 상품의 생산 배경과 특성을 자세히 소개해 구매 신뢰도를 높이는 데 주력한다.

장터는 24일 14시 개장(17시 개막행사), 25~26일은 오전 10시부터 19시까지 운영되는 것으로 서울시가 안내하고 있다. 

직거래 장터는 단기적 물가완화(명절 대비)뿐 아니라 유통비용 절감과 농가 소득 개선이라는 구조적 효과를 동시에 겨냥할 수 있다.

정부·연구기관은 직거래 확대로 연간 수천억 원대의 유통비용 절감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는 소비자 부담 경감과 지역경제 선순환이라는 정책목표와 맥을 같이한다.

전문 연구들은 직거래 장터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정례화된 운영, 관리체계, 농가의 포장·물류 역량 보강, 그리고 지방정부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권고한다. 즉, 행사성 판매와 상설적·지속적 판로 확충을 병행할 때 진정한 상생 효과가 구현된다는 점을 전문가들은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