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전국 광역 지방정부 최초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전용차량 100% 구축...'지역 기부로 완성' 모델, 지역돌봄 골든타임 바꾼다
- 17개 수행기관 모두 전용 차량 확보...응급관리요원 출동 범위·속도 크게 확대 - 지역 향토기업 SB선보·㈜파나시아 기부로 전량 조달...공공기술과 사람을 잇는 ‘현장 완결형’ 안전망 완성
[한국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가 독거노인 및 중증장애인 대상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수행기관 17곳 전부에 전용 차량을 마련함으로써 전국 광역 지방정부 가운데 처음으로 ‘전 기관 차량 100퍼센트 구축’을 이뤄냈다.
이 성과는 단순한 장비 보급을 넘어 응급관리요원의 현장 접근성과 출동 속도를 실질적으로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사례를 “기술과 사람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로 규정하며 향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부산시는 이번 구축을 통해 응급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 가능성이 올라가고, 주민들의 서비스 신뢰도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가정 내 화재·응급호출·장시간 쓰러짐 등을 감지하는 ICT 기반 장비를 설치해 자동 신고 및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필요 시 응급관리요원이 현장에 출동해 대응하는 예방적 지역 돌봄 사업이다.
부산에서는 구·군 17개 수행기관을 통해 약 1만9천여 세대에 안전장비가 설치돼 있으며,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응급 호출 1,075건에 대해 응급관리요원이 출동해 현장 대응을 실시했다는 집계가 나온다.
이러한 지역 단위의 성과는 중앙 정부가 추진하는 전국적 확산과 맞물려 응급안전안심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는 구조적 전환을 보여준다.
부산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전용 차량 100% 구축’은 기술 기반의 예방적 돌봄이 ‘사람의 현장성’과 결합할 때 더 완성된 사회안전망이 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지역 향토기업의 기부로 완성된 이번 민관협력 모델은 비용과 속도의 문제를 동시에 풀어낸 사례로, 중앙정부의 정책 목표(응급안전안심서비스의 전국 확산 및 고도화)와도 방향을 같이 한다.
이번 ‘전용 차량 100% 구축’은 부산 지역 향토기업들의 뜻이 모여 실현됐다. 먼저 지난 8월 SB선보㈜가 수행기관 10곳을 위한 차량 지원 기부금 1억7천만 원을 전달했고, 이어 9월 23일에는 ㈜파나시아가 나머지 7곳의 전용 차량 마련을 위해 1억1천9백만 원을 기부금으로 전달했다.
두 기업의 기부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집행되는 방식으로, 지역기업의 사회공헌과 지자체의 공공서비스가 결합한 모범적 민관협력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재원 조달 방식은 신속한 장비·인프라 확충을 가능하게 했고, 공공 예산만으로는 어려웠을 보완적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관련 학술·현장 연구들은 이 제도가 기술 기반의 안전망을 제공하는 한편, 결국 현장에 투입되는 응급관리요원의 존재와 이동성, 장비의 신뢰성, 그리고 제도적 책임성 확보가 서비스 완결성에 결정적이라는 점을 반복해서 지적해왔다.
현장 실무자를 인터뷰한 연구는 ‘응급관리요원’의 상시 가용성과 장비 오작동 문제, 사업의 책임성 확보 등이 사업의 핵심 과제라고 진단했다.
따라서 부산시의 전용 차량 확보는 단순한 하드웨어 도입을 넘어서 ‘응급관리요원의 현장 도달력’이라는 운영적 약점을 보완하는 실질적 개선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계 연구는 또한 이러한 현장성 강화를 전제로 할 때 서비스가 예방적 돌봄으로서 비용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용 차량 도입은 곧바로 나타나는 ‘출동 시간 단축’ 외에도 중장기적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파급효과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첫째, 주민의 체감 신뢰도를 높여 서비스 가입·신청 증가와 조기 대상자 발굴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응급관리요원의 이동 범위가 넓어지면 관할 내 응급 대응의 커버리지가 개선돼 응급상황 대응의 질적 수준이 향상된다.
셋째, 민관협력으로 조성된 물적 인프라의 성공사례는 타 지자체로의 확산 가능성을 높이고, 중앙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지방정부의 실행 역량이 결합될 때 ‘전국 모범사례’로 자리잡을 수 있다.
전문가·연구계의 검토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인다. 첫째, 댁내 장비의 오작동율을 낮추기 위한 품질관리와 A/S 체계 강화, 둘째, 응급관리요원의 근무체계·인력 확충을 통한 24시간 지속 가용성 확보, 셋째, 응급 출동·조치 데이터의 표준화와 분석을 통한 대응 프로토콜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보완이 병행될 때 차량 확보로 인한 시간적 이득이 실제 생명 보호와 안전성 향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관련 연구들은 또한 비용편익 관점에서 예방적 돌봄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있어, 지역 단위의 물리적 인프라 투자가 중장기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