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관악구] 전국 최초 ‘카페형 열린 구청장실’ 현장 소통행정 빛났다...531회 만남, 주민이 직접 만든 생활정책의 무대

- 주민과 함께 성장한 현장 행정…‘이청득심(以聽得心)’으로 이어갈 새로운 7년

2025-10-01     김미숙 기자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현장 중심의 소통이 곧 행정의 기초라는 결론부터 꺼내놓으며, 최근 관악청(聽) 개청 7주년을 맞아 주민 150여 명과 함께 ‘관악청 소통데이’를 열고 지난 7년의 성과와 기록을 주민과 공유했다.(사진=김미숙 기자/관악구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현장 중심의 소통이 곧 행정의 기초라는 결론부터 꺼내놓으며, 최근 관악청(聽) 개청 7주년을 맞아 주민 150여 명과 함께 ‘관악청 소통데이’를 열고 지난 7년의 성과와 기록을 주민과 공유했다.

관악청은 “내가 뽑은 구청장은 언제든지 만날 수 있어야 한다”는 박준희 구청장의 철학을 공약으로 구체화한 공간으로, 구청 1층에 전국 최초로 조성된 ‘카페형 열린 구청장실’이라는 점에서 이미 지방자치 영역에서 이례적 실험으로 평가돼 왔다. 

관악구가 이날 공개한 핵심 성과 지표는 단순한 자화자찬 수치가 아니다. 관악청에서 실시한 ‘소통 데이트’가 지금까지 총 531회, 1,796명의 주민과 총 15,930분(약 265시간)에 달하는 직접 소통을 기록했고, 2019년부터 시작한 ‘이동 관악청’을 통해 약 2,500건의 민원이 처리되었다는 점은 이 공간이 일회성 행사나 사진용 퍼포먼스가 아니라 지속적 행정업무의 일부로 작동해 왔음을 보여준다. 

주민과의 ‘탁자 한 켠’에서 시작된 작은 결정, '관악구 일상 정책'으로 확장되다

관악청의 운영 방식은 간단하다. 매주 목요일 오후, 박 구청장은 모든 공식 일정을 제쳐두고 관악청으로 향해 주민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현장에서 가능한 사안은 즉답·즉결 처리하는 방식으로 소통을 이어왔다.

이날 소통데이에서도 주민들이 현장에서 건의한 사안에 대해 박 구청장이 즉석 답변을 이어가며 현장성에 기반한 문제해결 의지를 재확인했다.

관악청 개청 이후 이런 현장 중심 소통은 정책 우선순위와 실무처리로 연계되는 사례를 다수 만들어냈다.

관악청은 “내가 뽑은 구청장은 언제든지 만날 수 있어야 한다”는 박준희 구청장의 철학을 공약으로 구체화한 공간으로, 구청 1층에 전국 최초로 조성된 ‘카페형 열린 구청장실’이라는 점에서 이미 지방자치 영역에서 이례적 실험으로 평가돼 왔다.  (사진=김미숙 기자/관악구청)

이 같은 ‘접점(接點) 행정’은 주민의 체감도를 올리는 데 특히 유효하다. 학술 연구와 정부 보고서는 주민참여 채널이 투명성·책임성·신뢰 회복에 기여하고, 현장 중심의 반복적 소통이 정책 수용성·정책완결성을 높이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즉, 관악청 같은 상시형 열린 공간은 주민 의견을 단순히 수렴하는 것을 넘어 행정의 결정구조와 집행과정을 연결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청득심(以聽得心)’ 구정 철학, 제도적 자산 발전 요구

박준희 구청장은 지난 7년간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원칙을 반복해왔다.

관악청의 경험은 단기 행사 차원을 넘어 지방정부가 주민과 직접 만나 문제를 확인하고, 그 자리에서 가능한 해결을 모색하는 ‘작동하는 소통’의 사례로 기록될 만하다.

이 경험을 지속가능한 제도적 자산으로 만드는 일은 별개의 도전이다. 주민참여의 제도화는 장기적 관찰과 데이터 공개, 그리고 외부 평가·학술적 분석을 통해 그 효과성과 한계를 투명하게 드러낼 때 비로소 다른 지방정부로의 확산 가능성을 갖는다. 관악구의 공개 수치와 운영 사례는 그 첫걸음으로서 의미가 크다. 

관악구의 이번 7주년 소통데이는 한 도시의 ‘소통 실험’이 지역 거버넌스의 관행과 정책 퍼포먼스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준 사례다.

앞으로 관악청이 쌓아갈 기록과 공개되는 후속 데이터들이 주민참여 기반 정책의 설계·운영·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방자치의 작은 실험이 어떻게 제도적 표준으로 확장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