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전국 최초 ‘자치구 한 곳 이상’ 반려동물 놀이터 완성...시민 · 전문가 함께 설계하는 ‘안전한 공존’ 새 표준 선보여
- 민선 8기 공약 조기 달성에서 한 걸음 더...운영·안전 매뉴얼 보강으로 ‘품격 있는 펫 문화’ 정착 추진 - 구(區) 단위 균형 인프라 확보...지역사회 교류와 반려문화 성숙을 연결하는 모델 제시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2024년 중구 반려견 에너지파크와 2025년 동구 반려동물 놀이터에 이어 최근 서구 ‘펫쉼터’ 개장을 계기로, 모든 자치구에 최소 1곳 이상의 반려동물 놀이터를 확보한 전국 최초의 지방정부가 됐다.
이로써 당초 2022~2026년 사이 3개소 조성 목표를 1년 이상 앞당겨 조기 달성했으며, 지역별 균형을 고려한 인프라 확충으로 ‘반려동물 친화도시’ 전략을 현실화했다.
이장우 대전광역시장은 "시민·관계기관·민간의 협력이 조기 달성의 배경"이라고 평가했으며, 시는 연말까지 유성구·대덕구 착공을 신속히 추진하고 운영 매뉴얼을 보완해 모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는 계획을 재확인했다.
대전의 전 자치구 반려동물 놀이터 확보는 수치상의 성취를 넘어 지방정부가 생활문화를 설계하는 방식에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시민 수요(약 20만 가구, 설문에서 87.6% 찬성)와 도시 설계·운영 전문성을 연결해, ‘공존’의 규칙을 어떻게 만들고 유지할 것인가가 다음 숙제다.
대전은 조기 달성의 성과를 기반으로 운영 매뉴얼 보완과 주민 소통을 통해 이 모델을 ‘품격 있는 펫 문화’로 정착시키려 하고 있어, 그 과정을 지켜보는 다른 지방정부들도 벤치마킹할 포인트가 많다.
대전시가 현재 운영 중인 시설은 2019년 개장한 대덕구 신탄진 반려동물 놀이터와 2022년 대전반려동물공원(유성구), 2024년 중구 반려견 에너지파크(중촌동), 2025년 동구 자양동 반려동물 놀이터 등이며, 서구 펫쉼터는 운영 인력과 관리 매뉴얼 정비 후 2026년에 정식 운영에 들어갈 계획으로 알려졌다.
대전의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약 20만 세대에 달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시가 반려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87.6%가 놀이터 조성을 희망했다고 밝힌 점은 시설 수요의 강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수치와 시민의견은 정책 우선순위 결정에 실무적 근거로 작용했으며, 시는 안전펜스·급수대·놀이·휴식시설 등 기본 편의시설을 전반에 적용해 이용자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시 당국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유성구·대덕구에 각 1소씩 추가 조성을 추진 중이며, 대덕구 덕암동 일원 부지는 실시설계를 마쳤고 유성구는 부지 사용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두 곳이 완공되면 대전의 놀이터는 총 7개소로 늘어나 자치구별 균형과 시민 접근성이 더욱 제고될 전망이다.
반려견 놀이터의 효과와 설계 방향을 살핀 국내 학계·실무 연구들은 공원형·사회적 기능을 강조한다.
도시설계 및 지역사회 연구는 반려견 놀이터가 단순한 운동공간을 넘어 이웃 간 교류와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위치 선정·규모·접근성·주변 주민 수용성 검토가 설계 성패를 좌우한다고 분석한다.
특히 접근성 높은 소규모 놀이터와 더 큰 공원형 시설을 혼합해 배치하면 반려인과 비반려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제3의 장소’로서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전문가 견해는 대전시가 운영 매뉴얼 보완과 안전성 강화를 병행하겠다는 결정과도 맥을 같이 한다.
시설 설계 단계에서부터 분변 처리 체계, 소음·위생 관리, 이용자 교육(펫티켓)과 민원 대응 프로세스를 명확히 해놓으면 시설이 지역갈등의 원인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자원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커진다.
대전의 이번 조치는 단순 인프라 확충을 넘어 지방정부가 반려문화 정책을 체계적으로 설계·운영할 때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