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서산시] 농촌 이동권, ‘전기 PBV’로 새 기준 제시...전국 최초 'DRT(수요응답형교통) 전용', 친환경 11인승 특화차량 도입

- 좁은 농어촌 길을 달리는 ‘기동성’과 친환경성 만났다...서산형 DRT 혁신 현장 - 현대차·엠티알·모트렉스 협업의 결실, 도시와 농촌 잇는 새로운 공공교통 모델

2025-10-02     이상금 기자/이학박사
이완섭 서산시장은 “지역의 교통 문제 해결과 친환경 차량 도입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특화차량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라며 앞으로도 교통정책 혁신을 통해 시민 편의 향상에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사진=이상금 기자/서산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충남 서산시(시장 이완섭)가 이달 도입한 DRT(수요응답형 교통수단) 전용 친환경 특화차량은 교통 취약 지역 주민들의 일상 이동을 실질적으로 바꿀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받아들여진다.

시는 1일 시청 현관 앞에서 ‘친환경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특화차량 도입 기념식’을 열고, 해당 차량을 오는 10월 13일부터 기존의 수요응답형 서비스인 ‘행복버스’에 추가 투입한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지역의 교통 문제 해결과 친환경 차량 도입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특화차량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라며 앞으로도 교통정책 혁신을 통해 시민 편의 향상에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서산시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차량 도입을 넘어 ‘공공형 수요응답형 이동성’의 한 축을 친환경 전기 PBV로 고정시키는 시도로 읽힌다.

시는 1일 시청 현관 앞에서 ‘친환경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특화차량 도입 기념식’을 열고, 해당 차량을 오는 10월 13일부터 기존의 수요응답형 서비스인 ‘행복버스’에 추가 투입한다. (사진=이상금 기자/서산시청)

지방 소도시·농어촌 지역의 일상적 이동 문제를 기술·운영·정책의 결합으로 풀어내려는 시도는, 향후 지역교통 정책의 주요 참고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도입된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PBV(목적기반차량) 플랫폼(ST1)을 기반으로 엠티알(MTR)이 특장해 만든 11인승 전기 승합차(CV1)이다.

해당 모델은 저상형 구조와 자동 슬라이딩 스텝 등을 적용해 승하차 접근성이 높고, 엠티알·모트렉스 계열이 적용한 서라운드뷰 연동 블랙박스와 AI 안내원 등 전장 시스템이 탑재되어 승객 안전과 안내 기능을 보완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작사 측은 안전성 검증을 위한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방정부 맞춤형 활용을 염두에 둔 다목적성도 강조하고 있다.

서산시는 이번에 총 4대를 추가로 도입해 대산읍 1대, 해미·고북면 지역에 1대씩 배치하고 나머지 2대는 예비차로 운용할 계획이다.

충남 서산시(시장 이완섭)가 이달 도입한 DRT(수요응답형 교통수단) 전용 친환경 특화차량은 교통 취약 지역 주민들의 일상 이동을 실질적으로 바꿀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진=이상금 기자/서산시청)

기존 ‘행복버스’는 올해 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고, 현재 대산읍 4대, 해미·고북면 4대 등 총 8대 체제로 운영 중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 특화차량 투입은 기존 서비스의 기동성과 접근성을 보강하는 성격이다.

좁은 농어촌 도로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특화차량은 향후 호출 기반 DRT 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여 교통 취약 지역 주민의 병원·시장·공공시설 접근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요응답형 교통(DRT)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적정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계와 연구기관에서 오래 검토되어 왔다.

한국교통연구원(KOTI) 및 관련 학술 연구들은 DRT가 지역 맞춤형 이동성 확보에 효과적이며, 특히 농촌·교외 지역에서 노선버스의 빈틈을 메우는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분석해왔다.

서산시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차량 도입을 넘어 ‘공공형 수요응답형 이동성’의 한 축을 친환경 전기 PBV로 고정시키는 시도로 읽힌다. (사진=이상금 기자/서산시청)

이번 서산 사례는 ‘DRT 서비스의 수단(dedicated vehicle)화’라는 측면에서 실증적 의미가 크며, 지방정부가 지향하는 교통복지 정책과 친환경 전동화 목표를 동시에 추진하는 실례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지방정부가 차량·운영 플랫폼·요금·수요예측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DRT의 사회적 편익이 극대화된다고 말해 왔으며, 서산의 시도는 이러한 원칙을 실제 행정에 접목한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관련 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볼 때, 향후 성과 데이터가 축적되면 서산형 모델은 지방정부들의 지속가능한 대중교통 설계에 실무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