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결혼 첫걸음 지원정책, 식장 비용과 예약난 직접 낮추다...‘아이플러스(i+) 맺어드림’ 첫 결혼식으로 드러난 실효성
- 공공예식장 무료 대관·비용지원으로 청년 결혼 진입장벽 완화, 실천적 저출생 대응의 새 모델 제시 - 웨딩플레이션 시대, 지방정부가 만든 안전망...지역 전문가들, 비용 부담 완화가 결혼 선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강조
[한국지방정부신문=박상대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직접적인 결혼 비용 경감이 곧 체감 가능한 정책 효과다”라는 취지로 추진한 ‘아이플러스(i+) 맺어드림’의 첫 결혼식이 열려, 정책이 추상적 약속에 머물지 않고 ‘예비부부의 현실’을 직접 건드릴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보여줬다.
공공예식장 확보와 직접적 비용 지원, 표준가격 제시라는 세 가지 축은 ‘체감 가능한 정책’의 전형이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장기적 출산율 개선은 다층적 접근을 필요로 하지만, 비용 부담 완화는 결혼을 결심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다.
인천의 이번 시도는 그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정책의 확대·보완 여부는 향후 데이터(신청률·혼인 건수 변화 등)와 시민 체감에 의해 평가될 것이다.
공공시설 13곳 확보·커플당 100만 원 지원...구체성과 범위를 갖춘 실행안
이와 관련해 인천시가 11일 ‘아이플러스(i+) 맺어드림’의 첫 결혼식을 성대하게 올리며 보여준 것은 추상적 장려금이 아니라 예비부부가 실제로 느낄 수 있는 비용·절차 지원의 힘이었다.
이날 하버파크호텔에서 열린 두 차례의 예식(오후 1시·5시)에서 제1·제2호 부부가 탄생했고, 유정복 시장의 직접 축사와 지역 원로회의의 무료 주례 참여 등 지역 공공·민간 자원이 결혼식 준비 현장으로 곧바로 연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천시는 MZ세대 수요를 반영해 인천시민애집, 상상플랫폼 개항광장, 하버파크호텔 등 공공시설 13곳을 예식공간으로 확보하고, 커플당 100만 원을 직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설계했다.
공공예식장 무료 대관과 표준가격안 마련 등의 조치는 단순 홍보성 이벤트를 넘어 ‘현장 비용 구조’를 건드리는 실질적 조처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최근 몇 년간 예식장·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등 결혼 관련 비용 상승, 이른바 ‘웨딩플레이션’은 예비부부들의 결혼 의사와 준비 과정에 실질적 부담을 주고 있다.
최근 스드메 비용과 예식장 비용 상승이 지적되며 예비부부의 부담이 커졌음을 반복되고 있는데, 인천시의 이번 사업은 그 부담을 직접적으로 덜어주는 방안으로 읽힌다.
이런 맥락에서 비용 일부 지원·표준가격 제시·공공대관은 ‘비용 불확실성’과 ‘예약난’이라는 결혼 시장의 병목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평가된다.
'단기적 체감효과'가 중장기 인식 변화 이끄는 출발점
지역과 인구정책 전문가들은 결혼·출산을 촉진하려는 노력에서 ‘체감 가능한 비용 경감’이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말한다.
최근의 혼인·출산 지표 회복 조짐을 분석한 전문 논평들도 직접적인 비용 부담 완화 정책이 일정 수준 긍정적 변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인천시의 사례는 지방정부가 지역 자원(공공시설·원로회의 등)을 동원해 ‘현장성 있는 지원’을 설계한 모범으로, 특히 결혼을 망설이는 예비부부들에게 단기간에 체감되는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인천시가 이날 공개한 ‘아이플러스(i+) 맺어드림’은 단순히 결혼식을 무료로 열어주는 이벤트가 아니다.
실제로 예비부부들이 맞닥뜨리는 예약난과 불투명한 비용 구조를 바꾸려는 실행 중심의 설계다.
공공시설 13곳을 예식장으로 확보해 공간 접근성을 높이고, 각 커플에 대해 100만 원의 비용을 직접 지원함으로써 초기 비용 부담을 줄였다.
또한 결혼 전문 협력업체와의 협약을 통해 ‘인천형 결혼서비스 표준가격안’을 마련, 과도한 추가요금과 불투명한 거래 관행을 완화하려는 노력이 병행된 점이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현장에서 만난 신혼부부들은 “경제적 부담이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하며, 시민 원로회의가 제공한 무료 주례 서비스가 예식의 감동을 더해주었다고 전했다.
‘웨딩플레이션’ 시대에 맞서는 정책적 응답 선보여
정책적 맥락을 넓혀보면, 결혼 비용의 가파른 상승은 단지 개인의 소비 선택을 넘어 사회적 구조와 연계된 문제다.
예식장 대관료·스드메·혼수·신혼집 등 결혼 전후 드는 비용 항목들이 모두 상승하면서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지방정부가 직접 예식 공간을 제공하고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조치는 ‘시장 실패’로 드러난 부분을 보완하는 공공적 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표준가격안’ 제시는 소비자 보호와 투명성 확보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전문가들은 이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 시선을 보인다. 비용 부담이 감소하면 결혼을 앞둔 청년들이 실제로 결혼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혼인율·출산율 회복의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행사는 단순한 축하의 장을 넘어 ‘정책의 가시적 증거’를 만드는 자리였다.
유정복 시장이 1호 예식에 참석해 직접 축사를 전했고, 황우여 인천 시민원로회의 의장이 제2호 예식의 주례를 무료로 맡는 등 지역 리더십이 공공정책을 일상으로 연결한 모습은 행사 자체를 정책의 성과로 시각화했다.
인천시는 향후 더 많은 예비부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으며, 그 실현 가능성은 향후 접수·신청 현황과 예산 집행의 투명성 관리에 달려 있다. 첫발을 뗀 만큼, 지역사회가 체감하는 ‘결혼 준비의 문턱’을 얼마나 낮출지 지켜볼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