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관악구] 서울 유일 예비 문화관광축제 '관악강감찬축제'...‘시민 강감찬’으로 역사 · 지역경제 · 환경 모은 축제의 확장

- 귀주대첩의 기억을 ‘시민’으로 현재화하다...추모제향부터 시민 대합창·뮤지컬·역대 최대 불꽃쇼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체험형 역사축제 - ‘예비 문화관광축제’ 지정이 주는 실질적 파급력...중앙 지원과 지역 역량 결합으로 축제의 관광·상권 효과 노리다

2025-10-15     박상대 기자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의 관악강감찬축제는 10월 17일(금)부터 19일(일)까지 사흘간 낙성대공원 일대에서 ‘시민 강감찬’을 주제로 진행된다.(사진=박상대 기자/관악구청)

[한국지방정부신문=박상대 기자] 서울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한 ‘관악강감찬축제’가 예비 문화관광축제 지위를 통해, 지역 브랜드 가치를 재확인하고 중앙의 지원망을 활용해 콘텐츠 고도화와 관광 유치로 연결할 경우, 지역경제·문화적 파급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의 관악강감찬축제는 10월 17일(금)부터 19일(일)까지 사흘간 낙성대공원 일대에서 ‘시민 강감찬’을 주제로 진행된다.

이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2024~2025년 예비 문화관광축제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해당 선정은 전국 수백여 개 지역축제 가운데 향후 문화관광축제로 육성될 가능성이 높은 축제들을 가려 뽑는 절차의 결과다.

이 지정이 ‘서울시에서는 유일하게’ 이뤄진 사례로, 축제의 공적 후원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의 지원을 받게 된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빛나는 고려 역사와 강감찬 장군 업적이 빛나는 ‘전통’ 그리고 축제를 통해 풍류와 시대정신을 느끼는 주민들이 살아가는 ‘현재’가 어우러져 ‘시민 강감찬’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주민·예술인·상권과의 상생을 통해 예비 문화관광축제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전통의 재현과 주민 주도형 체험 공존하는 축제의 골격

행사 첫날인 17일에는 낙성대공원 내 안국사에서의 ‘강감찬 장군 추모제향’으로 막을 올리고, 밤에는 인디밴드 경연 출신 팀들과 초청 밴드의 무대로 1일 차를 마무리한다.

둘째 날(18일)부터는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본격화되는데, ‘관악 퍼레이드 21’은 각 동(洞)의 역사와 특색을 체험형 부스로 풀어내며, 낙성대동·은천동·인헌동 등 21개 동과 강감찬 장군의 연관성을 주민 참여 콘텐츠로 전달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한 ‘관악강감찬축제’가 예비 문화관광축제 지위를 통해, 지역 브랜드 가치를 재확인하고 중앙의 지원망을 활용해 콘텐츠 고도화와 관광 유치로 연결할 경우, 지역경제·문화적 파급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박상대 기자/관악구청)

이 밖에도 고려시대 시장을 재해석한 ‘고려장터’, 거리예술 공연군 ‘고려난장’, 전통활쏘기와 친환경 놀이를 결합한 ‘별의별 놀이터’ 등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체험·공연이 이어진다.

축제 마지막 날에는 강감찬 관련 토크쇼와 고려시대 과거시험을 모티브로 한 퀴즈쇼(우승상금 최대 100만 원), 그리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캐릭터 공모전 본선 등이 축제의 마무리를 장식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은 관람객이 ‘보기’에서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는’ 방향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지역상생 · 환경(ESG) 실천과 축제 운영의 의미

관악구는 축제 내 모든 먹거리 부스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등 ‘플라스틱 프리 서울’ 실천을 선언하며 환경적 책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역 상권 연계 프로그램인 ‘고려장터’는 관악구 대표 맛집과 연계해 지역 소비를 촉진하려는 의도이며, 거리예술·마임·서커스 등 무료 공연을 통해 문화 향유 접근성을 높이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처럼 지역 예술인·상권·주민이 함께 만드는 운영 방식은 축제의 지역 내 파급력을 키우는 동시에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는 ‘공유형 축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예비 문화관광축제 지정 제도는 선정된 축제에게 2년의 지정 기간 동안 홍보·마케팅, 빅데이터 분석, 축제 수용태세 개선 등 후속 지원을 제공해 ‘지역 축제의 관광상품화’ 가능성을 확장하는 제도적 장치로 알려져 있다.

관련 연구는 이러한 지정 제도가 지역 축제의 조직 역량과 콘텐츠 차별성, 관광객 유입 등에서 실질적 개선을 촉진한다고 분석해 왔으며, 문체부 관계자도 “축제는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몫을 차지하는 중요 관광자원”이라며 중앙의 지원 의지를 분명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