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드론이 옮겨온 '바다의 새 돌봄'...인천, ‘300㎏ 운반 드론’ 시범, '섬 해안 쓰레기 수거 체계의 기술적 전환' 선언하다
- 접근 불가능한 파래금 해변에서 확인한 실전성...드론으로 해안에서 선박까지 300㎏ 해양쓰레기 이송 성공 - 국토부 드론 실증도시·K-드론 배송 사업과 맞물린 확장 계획...옹진군 전역과 ‘스마트 해양빌리지’ 연계 청사진 제시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드론 기반 해양쓰레기 운반 시범은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한 동시에, 지역사회·지방정부·중앙 사업 간 협업 모델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접근 어려운 해안의 쓰레기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수거 효율을 높이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드론이 제공하는 고해상 데이터와 AI 분석이 예방·예측 중심의 해양관리로 나아가게 할 촉매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10월 21~22일 덕적도 북2리 파래금 해변에서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운반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실증에서는 해안에서 운반선(옹진청정호)까지 최대 300kg을 견인·이송할 수 있는 드론을 사용해 쓰레기 운반을 시연했고, 그 결과 접근이 어려운 해안 지역의 인력 부담과 해상작업 위험을 줄이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현장에서 관측된 가장 큰 변화는 ‘접근성의 격차’를 기술로 메운 점이다. 덕적도 파래금 해변처럼 사다리·갯바위·암반으로 직접 접근이 힘든 지역에서는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는 데 시간과 안전 리스크가 컸다.
드론 실증은 그런 사각지대에서 쓰레기를 신속히 선박으로 이송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인천시는 내년부터 옹진군 전역의 취약지역으로 해당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명확히 했다.
인천시가 발표한 실증 결과와 향후 확대 계획은 지역 해양환경 관리의 패러다임을 ‘인력 중심’에서 ‘기술·데이터 중심’으로 전환하는 첫 걸음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현장형 기술 전환’의 즉시적 효과...‘300kg’, 현실 가능한 목표다
이번 시범에서 사용된 ‘300kg’이라는 숫자는 언뜻 크다 보이나, 글로벌 상용·군수 분야에서는 이미 이 정도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중·대형 유·무인 기체가 존재한다.
예컨대 BAE Systems 등에서 공개한 중량화물용 무인체계는 최대 300kg급 페이로드 성능을 제시한 사례가 있다. 이 점은 인천시의 실증 목표가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범주에 놓여 있음을 뒷받침한다.
또한 드론 활용의 강점은 ‘정밀한 접근’과 ‘반복 가능성’이다. 학계와 실무 연구는 드론을 활용한 해안쓰레기 모니터링이 고해상도 영상 기반으로 쓰레기 분포를 빠르게 파악하고, AI 기반 식별로 수거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유리하다고 결론내렸다.
인천시의 시범은 감시·탐지 단계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실물 이송’까지 연결한 사례로, 모니터링→수거→운반의 흐름을 기술적으로 잇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책적 맥락과 확장성...실증도시 선정과 K-드론 사업의 시너지
인천시는 이미 드론을 도시 관리 전반에 도입하는 계획을 추진해 왔고, ‘2025년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선정으로 공적 지원을 받아 섬 지역의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과 연계하는 청사진을 그려왔다.
이번 덕적도 실증은 그 연속선상에서 기술·행정·해상 물류가 결합할 때 얻을 수 있는 운영 이점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다.
중앙 정부의 실증사업과 지방정부의 현장 실증이 결합하면 규제·안전 기준과 운영 매뉴얼을 함께 다듬는 기회가 된다.
박광근 시 해양항공국장은 “푸른 바다 환경을 위한 드론 활용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인천의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기술 기반으로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내년 사업 확대와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 연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인천시의 전략적 방향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전문가 시선...현장성 인정, 데이터 기반 운영의 중요성 강조
국제 연구 및 기관은 드론을 이용한 해변·부유쓰레기 탐지와 모니터링이 현장 조사보다 비용·시간 효율에서 우수하며, AI 기반 분류와 결합하면 수거의 우선순위를 과학적으로 정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드론과 특수 센서를 통한 해안 쓰레기 탐지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해 왔다. 이들 연구는 드론이 단순한 촬영 기기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해양환경 관리 플랫폼의 한 축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한국의 관련 학계도 유사한 결론을 내놓는다. 제주·부산 등에서 진행된 드론·AI 결합 모니터링 연구는 드론이 80% 이상의 탐지 정확도를 보이는 구간이 존재하며, 이를 실제 수거 작업과 연동하면 효율이 크게 올라간다고 평가했다.
인천의 시범은 바로 이 ‘탐지→결정→집행’의 고리를 실전에서 확인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