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관악구] ‘전국 자치구 1위’로 입증된 '지방정부 혁신' 모델...국무총리 표창 수상, '지방행정 혁신' 새 이정표 제시
- 민·관 협치와 디지털 인프라 결합으로 체감형 성과 창출...4개 항목·11개 세부지표 전반에서 고른 높은 점수 획득 - 관악S밸리 창업생태계·치매예방 놀이공간·실종아동 실시간 추적 시스템 등 현장중심 혁신이 ‘국가 표준’ 가능성 열다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지방정부의 전략적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만든 ‘지속 가능한 혁신의 구조’의 성과로,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지방정부 혁신평가’에서 자치구 부문 최고점을 받아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이는 사실은 단순한 상장 수여를 넘어 지방정부 혁신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쌓이고 확산되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수상은 전국 243개 지방정부 중에서 이뤄낸 성과로, 관악구는 평가의 4개 항목·11개 세부 지표 전반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받아 ‘전국 자치구 1위’로 공인되었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이번 수상에 대해 “‘혁신·포용·협치’라는 구정 비전 아래 전 공직자가 함께 만들어낸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창의적 혁신 노력으로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 행정’의 모범 도시로 도약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관악구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혁신·포용·협치’를 구정 기조로 삼고 이를 조직 운영의 전 과정에 내재화했다.
기관장 주도의 혁신 리더십, 협치위원회 운영, 그리고 적극 행정에 대한 성과보상 체계 도입은 관악구 내부에서 혁신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적 동력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단회성 프로젝트가 아니라 제도·문화·성과가 결합된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로서의 전환을 의미하며, 평가 결과가 이를 객관적으로 입증했다.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주민 체감형 정책으로 연결된 혁신의 ‘실전성’
관악구는 현장 중심 소통을 통해 주민 체감형 성과를 만들어낸 점이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관악S밸리(지역 내 창업생태계) 육성, 청년 정책, 야외 놀이형 치매예방프로그램 ‘치매안심노리터’ 운영 등은 행정 서비스가 직접 주민의 일상에 닿는 방식으로 설계·운영된 대표 사례로 꼽힌다.
관악S밸리는 창업 인프라 확충과 성장 지원을 통해 지역 내 벤처·스타트업의 진입·성장 경로를 체계화하고 있으며, 관악구는 이를 통해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로의 연결을 꾀하고 있다.
‘치매안심노리터’와 같은 프로그램은 단순한 보건 서비스가 아니라 주민 참여형 예방 플랫폼으로서 설계되어 어르신들의 일상적 건강관리와 사회적 교류를 촉진해 지역사회 복지의 질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시 차원의 치매안심센터 사업과의 연계 사례들도 공개된 바 있어 지역 단위의 창의적 설계가 광역 행정과 결합해 확산 가능성을 갖췄다.
디지털 인프라를 통한 안전·복지의 융합...실종아동 추적시스템의 확장성
관악구의 전국 최초 실종아동 실시간 추적 관제시스템 구축은 디지털 기술을 민생 안전에 직접 연결한 대표적 사례로 주목받는다.
이 시스템은 비콘(Beacon) 기반의 IoT 기기와 ‘스마트지킴이’ 앱을 연계하고, 관내 약 6,500여 대의 CCTV를 관리하는 스마트 관제센터와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현재 어린이집 68개소, 약 3,100여 명의 원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악구가 공개한 운영 성과에 따르면 모의훈련 결과 실종 발생 시 평균 약 10분 이내에 아동을 발견하는 성과를 낸 사례도 보고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 성과는 기술이 현장 절차 및 관제 역량과 결합될 때 실질적인 안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기술 단품의 도입을 넘어서서 교사·보호자·관제센터·경찰 등 현장 주체 간의 역할 분담과 모의훈련을 통해 운영 역량을 키운 점이 핵심이며, 이러한 운영모델은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방정부의 창의적 실험’, 정부 전체의 정책 확산 동력으로 작용
이번 평가 결과는 단순한 지역 성과 보고를 넘어 중앙의 평가체계(전문가평가단·국민평가단 등)를 통해 객관적으로 검증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부의 혁신평가 체계는 민간 전문가와 국민 평가를 결합해 공정성과 국민 체감도를 함께 살피는 구조로 운영되며, 이런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는 것은 정책 설계·집행·성과관리 전 단계에서의 완성도가 높았다는 방증이다.
정부혁신 관련 연구·분석을 수행하는 기관들도 2024년 이후 선정된 혁신 사례들에 대해 심층분석을 내놓으며 ‘지방정부의 창의적 실험’이 정부 전체의 정책 확산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관악구의 사례는 ‘조직문화의 변화(리더십·보상체계) → 현장 수요 기반 설계(리빙랩 등) → 디지털 인프라 결합 → 실증적 성과 도출’이라는 연쇄 구조가 어떻게 실제 정책 성과로 귀결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로 당분간 학계·정책계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관악구의 다음 과제는 이미 쌓아온 혁신 성과를 제도화하고, 다른 지방정부가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지식·노하우를 공개·공유하는 단계로의 전환일 것이다.
이번 국무총리 표창 수상은 관악구의 개별 사업 성과를 공식적으로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지역정부 혁신이 국민의 일상 안전과 복지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되며, 관악구의 경험은 다른 자치구가 ‘현장 문제 해결형’ 혁신 전략을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실증적 교본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