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유성구] 전국 최초 ‘테스트베드 지원 조례’ 제정 성과 나다, 실증 테스트베드 '지역 혁신 동력화' 가속...‘테크 스타트’ 생태계 현실화
- 산책로 바라보는 AI와 번역기를 통한 민원 소통...시민 일상에 스며드는 기술 실험의 풍경 - 조례로 제도화된 ‘테스트베드’와 산·학·공 협업 체계...중소기업 성장과 시장 진출 견인하는 지역 플랫폼
[한국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대전 유성구(구청장 정용래)의 도시브랜드 '테스트베드 1번지'가 단순 기술 시범을 넘어 ‘지역 성장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어 전국 주목을 받고 있다.
유성구는 올해에만 11건의 현장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2020년 조례 제정 이후 누적 57건의 실증 성과를 기록해 ‘테스트베드 1번지’라는 지역 브랜드를 현실화하고 있다.
이 성과는 실증(Proof-of-Concept)을 통해 기술 성능을 검증하고, 검증된 성과가 지역 기업의 사업화와 시장 진출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는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유성구 관내에서는 인공지능(AI) 드론을 활용한 도로·천변 산책로 모니터링(㈜리맵)과, 구청 민원 현장에서의 AI 기반 외국인 통번역 서비스(㈜에어사운드) 등 생활 밀착형 기술들이 실제로 시민 접점에서 테스트되고 있다.
이들 사례는 단지 기술의 ‘기술성’만을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공공 인프라(도로·천변·구청 창구)를 활용한 사용자 반응·운영 데이터의 수집과 개선 피드백까지 엮어내는 실증 구조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리맵은 AI 드론을 통해 산책로와 도로의 상태를 영상과 센서 데이터로 포착·분석해 빠른 이상징후(파손·침적·안전위험)를 탐지하고자 한다.
에어사운드의 통번역 시스템은 실시간 음성→문자 변환 및 다언어 번역으로 구청 창구의 외국인 민원 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써 행정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목적을 지닌다.
이 같은 실증은 운영 데이터(응답속도, 번역정확도, 시민 만족도 등)를 바탕으로 제품·서비스 고도화를 촉진한다.
유성구는 2020년에 전국 지방정부 중 선제적으로 ‘테스트베드 지원 조례’를 제정해 공공 인프라·행정지원·규제적용 등 실증에 필요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조례 제정 이후 구는 제안 접수·선정·위원회 심의·현장지원·성과확산으로 이어지는 전담 체계를 운영하며, 올해는 23건 접수에 19건 선정·그중 11건이 현장 실증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제도적 토대는 ‘현장 실증→성과 데이터 축적→기업 성장’의 경로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조례는 단순한 혜택 제공을 넘어 공무원의 실행체계 확립, 민·관 협력의 공식화, 실증 과정에서 필요한 행정·재정적 조치의 선제적 규정 등을 가능하게 해 지역정부가 안정적으로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유성구는 이 조례를 근거로 전담부서와 지원위원회를 운영하며 실증 단계별 행정·안전·데이터 관리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유성구가 주최한 ‘2025년 유성구 테스트베드 지원위원회’에는 유성구 행정뿐 아니라 대전ICT산업협회·대전테크노파크·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 혁신 생태계의 핵심 기관들이 참여해 총 16개 기관·기업이 연대하고 있다.
박문용 유성구 부구청장 겸 위원장은 “테스트베드 정책은 단순 기술 검증을 넘어 기업의 성장과 시장 진출을 견인하는 지역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 중”이라며 유성구의 역할 확대 의지를 공개적으로 강조했다.
이 같은 거버넌스는 실증 성과의 지역 확산과 외부 연계(대덕특구·대학·연구소)로 이어지는 동력을 제공한다.
지원위원회는 기업 제안의 심의·운영 문제 해결·데이터 공유 프로토콜 협의·사업화 연계 지원 등 실증 전 주기에서 실무 결정권을 행사함으로써, 개별 기업의 현장 테스트가 지역 혁신 생태계의 일원화된 성장 로드맵으로 수렴되도록 한다.
대덕특구·테크노파크 등과의 연계는 특히 기술사업화·투자유치 측면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연구 및 정책 보고서는 실증(Testbed)이 기술의 상용화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이며, 실증을 통해 데이터가 쌓이고 이를 바탕으로 규제·서비스 설계가 보완되어야 시장 확장이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등은 실증 지원체계의 정비와 지역·산업 맞춤형 테스트베드 확보가 기술사업화의 핵심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유성구의 사례는 이 같은 정책적 권고와 궤를 같이하며, 제도화된 지원체계와 지역 인프라의 집적이 실증 성과로 연결되는 모델을 실증하고 있다.
정책·학계 자료는 특히 ‘데이터 공유 체계’, ‘시민 안전·프라이버시 보호 장치’, ‘성과의 표준화’ 등을 실증 정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제시한다.
유성구의 운영 사례는 이 권고들을 행정 차원에서 제도화하고, 지원위원회를 통해 산·학·공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실천적 모델로 읽힌다.
유성구는 지역 내 외국인 거주 비중이 높은 편이라는 현실을 배경으로 AI 통번역 서비스를 적극 도입해 행정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실제로 구는 올해 일부 창구에 AI 양방향 통번역기를 도입해 110개 언어를 지원하는 사례까지 운영하며, 이는 ‘실증→현장도입’이 시민 체감형 서비스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사례임을 보여준다.
AI 통번역의 현장 도입은 단순 편의 제공을 넘어 행정서비스 형평성과 지역 포용성 강화라는 공공적 가치를 창출한다.
이 사례는 기술 실증이 사회적 수요(외국인 주민 서비스 개선)와 맞물릴 때 정책적·사회적 파급력이 커진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