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전국 최초 ‘광역형 AI 콜버스’로 행정권역 넘나드는 교통 전환점 찍다...오송에서 조치원까지 '실시간 AI 경로 잇는' 광역 DRT 실증

- 세종시 포함한 행정경계를 넘는 ‘광역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실증, 지역 이동성의 새 기준을 노린다 - 데이터 수집·분석 중심의 무상 시범운영 후 2026년 상반기 유상 전환 목표, 연구·정책·산업 연계 효과 기대.

2025-11-05     김미숙 기자
충북도는 5일 오송역 선하마루에서 전국 처음으로 두 개 이상의 시도(광역권)를 넘나드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서비스(이하 ‘광역 DRT’) 실증을 공식 개시했다. (사진=김미숙 기자/충북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숙 기자] 충북도(도지사 김영환)의 광역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서비스(DRT) 실증 사업이 단순 시범을 넘어 광역 이동성 설계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충북도는 5일 오송역 선하마루에서 전국 처음으로 두 개 이상의 시도(광역권)를 넘나드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서비스(이하 ‘광역 DRT’) 실증을 공식 개시했다.

한국교통연구원 등 교통분야 연구기관들은 광역 통행을 지원하는 M-DRT(Metropolitan DRT)가 신도시 입주 초기의 대중교통 공백 해소와 도시 간 일상적 이동성 보완에 실효성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번 실증의 의미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정책·운영 모델의 전환 가능성을 타진하는 계기라는 점에서 크다. 

이번 실증 구간은 오송역 일원에서 조치원역까지 약 25.7km 구간이며, 평일 정오(12:00)부터 저녁 20:00까지 일상 이동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

행사에는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와 국토교통부 및 청주시(시장 이범석)·세종시 관계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초기에는 현대 쏠라티 차량 3대가 투입되어 ‘바로DRT’ 앱을 통해 호출·예약하면 AI 알고리즘이 실시간으로 최적 경로를 생성해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충북도 측은 연구용 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해 현재는 무상 시범서비스로 제공하고 2026년 상반기 중 유상 서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수요응답형 교통과 자율주행을 결합한 서비스는 법·제도와 운영모델의 정교화가 필요하지만, 이미 국토교통부와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스마트실증·규제특례를 통해 지역 맞춤형 DRT 실증을 확대하는 움직임이 가시화되어 있다.

국내 연구보고서는 광역 DRT의 특성상 노선형 버스와 다른 배차·경로생성, 광역 환승 체계 연계 등 기술·행정·운영 측면에서 세밀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짚으며, 이번 충북의 실증은 그러한 제도적·기술적 질문들에 대한 현장 해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충북도는 이번 실증을 단순 운송 실험에 그치지 않고, 오송의 AI·연구 인프라(오송 선하마루·AI 미디어센터 등)와 연계해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고도화, 지역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 이용자 경험(UX) 최적화 연구로 확장할 계획이다.

연구기관과 지방정부의 관점에서 이번 실증은 ‘광역 이동성’이라는 난제를 기술·운영·정책이 함께 풀어내는 실증 사례로 평가받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국교통연구원·국내 연구자들의 보고서들은 DRT가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의 교통복지 향상, 대기시간 단축, 운영 효율 개선 등의 장점이 있다고 지적해 왔는데, 충북의 광역 실증은 이러한 기대를 현실 데이터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충북 실증은 ‘광역 단위의 호출·배차 알고리즘 성능’, ‘도시간 요금·환승 정책 연계성’, ‘실시간 교통상황 반영 능력’ 등 기술적·행정적 난제를 한 번에 검증할 수 있는 드문 기회다.

안전성과 시민 편의를 최우선으로 한 단계적 상용화(무상→유상 전환)는 연구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 정책결정의 전형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실증은 ‘누가, 어느 경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묶여 있던 기존 이동정책의 틀을 깨고, 데이터·알고리즘·지방정부 협업을 통해 실질적 이동성 개선으로 연결하려는 시도다.

충북도는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고도화와 정책적 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확산 가능성도 열려 있다. 향후 수집될 이용 패턴·운행 데이터는 다른 지자체가 광역 DRT 도입을 검토할 때 중요한 레퍼런스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