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전국 최초 ‘천원택배’, 전 지하철 역사로 확대...'소상공인 비용 부담 · 도시 물류 효율' 동시에 잡는 실험, 현실로 이어져

- 지하철 역사 기반 택배...누적 배송 100만 건 넘어 - 도시철도 유휴공간을 생활물류 거점으로 활용한 정책적 실험...지역 일자리와 친환경 물류의 본보기로 주목

2025-11-11     김미숙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지난 1년간의 시범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물류비 절감을 목표로 한 ‘천원택배’의 2단계 확대를 11월 10일부터 전면 시행했다. (자료=인천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지난 1년간의 시범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물류비 절감을 목표로 한 ‘천원택배’의 2단계 확대를 11월 10일부터 전면 시행했다.

이 사업은 지하철 역사를 물류 집화 거점으로 활용해 소상공인이 건당 1,000원에 택배를 보낼 수 있도록 한 공공 생활물류 모델로, 시행 1년 만에 누적 배송 100만 건을 돌파하고 약 7,400여 개의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등 실질적 성과를 입증했다. 

인천시는 이번 2단계 확대를 계기로 서비스 접근성·품질을 지속 개선하고 친환경 배송체계 확산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물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현장의 소상공인들이 비용 절감과 매출 증대 효과를 체감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운영 인력 확충을 통한 지역 고용 창출이 동반된다는 점에서 이 사업은 단순한 택배 요금 보조를 넘어 지역경제·사회구조에 긍정적 파급을 낳는 ‘인천형 생활물류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실질적 비용절감과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체감형 성과

인천형 천원택배는 기존 30개였던 집화센터를 인천지하철 1·2호선의 전 역사 60개소로 확대하고, 운영인력을 159명으로 늘렸다.

이 중 120여 명은 여성·노년층을 신규 채용해 지역 일자리 창출 효과도 함께 내고 있다. 현장에선 소상공인들이 물류비 절감과 시간 절약을 통해 매출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졌으며, 사업 이후 참여 소상공인의 매출이 눈에 띄게 오른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다. 

지하철 역사와 같은 도심 유휴공간을 생활물류 거점으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는 국내외 정책 연구에서 이미 대안으로 거론되어 왔다.

한국교통연구원 등은 생활물류센터·도심 공동물류 플랫폼 구축을 통해 배송 효율을 높이고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해 왔으며, 실제로 도시철도 유휴공간을 활용한 물류센터 조성은 서울시 등에서 선행 사례가 존재한다. 인천의 이번 확장은 이론적·정책적 근거 위에서 현실화된 사례로 평가받을 만하다. 

'도시철도 역사 유휴공간' 전략적 재활용...'생활물류 인프라' 확충

공공·학계 차원의 연구들은 도시 내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이 택배 이동거리·교통혼잡·배출가스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하철 역사를 물류 거점으로 전환하는 인천의 시도는 ‘접근성 개선(집화 편의) + 운송효율성(집중 집하로 인한 라우팅 최적화) + 지역사회 일자리’라는 세 축을 동시에 겨냥한 정책실험으로서 의미가 크다.

정책연구기관의 분석은 인천 사례가 다른 지방정부의 유사한 생활물류 전환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한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11월 10일 예술회관역에 설치된 2단계 집화센터를 방문해 집화·분류·배송 전 과정을 점검하고 근무환경과 안전관리 체계를 확인했다.

이어 인근 소상공인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어 현장의 체감효과와 요구를 직접 청취했다. 시는 현장 점검과 소상공인 의견 수렴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접근성을 개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정책적 확장성, 타 지방정부·국가 차원의 생활물류 전략과의 연결

국토교통부와 관련 연구기관이 제기한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은 이번 인천 모델의 정책적 확장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도심 내 유휴부지·역사 공간의 물류화는 단지 한 도시의 편의 제공을 넘어 택배 물동량 증가로 인한 사회비용(교통·환경)을 낮추는 공적 전략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인천의 성과가 정량적·정성적 근거로 축적될 경우, 해당 모델은 전국적 벤치마크로서 다른 지방정부의 도입 요건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생활물류 관련 연구자료는 도심 내 집화·분배 거점을 확충하면 운송 효율성 개선과 탄소배출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한다. 

도시철도 역사를 생활물류 거점으로 전환하는 시도는 서울 등에서 이미 정책적 실험으로 진행된 바 있으며, 인천의 확장은 이러한 실험들이 정책적 성과로 연결되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