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도시’ 공식 인정받다...TOURISE 어워즈 엔터테인먼트 부문 세계 2위 등극, ‘K-콘텐츠+도시혁신’ 우수성 입증
- 리야드 무대에서 확인된 ‘서울의 밤과 문화’...K팝·최첨단 엔터·야간문화가 만든 국제적 경쟁력 - 단발성 상 수상이 아닌 누적된 성과의 연속...트래지(Trazee), 트립어드바이저, Global Traveler 등 복수의 국제지표와 함께 빚어낸 신뢰성
[한국지방정부신문=박상대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첫 TOURISE Awards(투어라이즈 어워즈)에서 엔터테인먼트 분야 세계 2위로 선정됨으로써 ‘콘텐츠(문화)+도시(인프라·정책)의 결합’이 국제 심사에서 어떻게 수치로 환원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시상식은 사우디 정부와 사우디 관광청이 후원·주관한 TOURISE 서밋의 일환으로, 독립적인 심사위원단과 글로벌 여행·관광 데이터를 바탕으로 5개 분야(엔터테인먼트, 예술·문화, 음식·요리, 쇼핑, 어드벤처)의 우수 목적지를 가린 자리였다.
서울은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도쿄(1위)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시상식 전 발표된 분야별 Top20에도 서울은 엔터테인먼트·음식·쇼핑 등 3개 분야에 이름을 올리는 등 다중 지표에서 경쟁력을 보였다.
이와 같이 글로벌 참여가 활발한 무대에서의 인정은 서울이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소비처를 넘어 ‘체험형 문화 수도’로서 브랜딩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된다.
향후 서울시가 이 모멘텀을 바탕으로 공연·축제의 해외 연계 강화, 디지털 체험 콘텐츠의 국제 표준화, 그리고 야간관광 안전·접근성 강화 등을 일관되게 추진한다면, 이번 수상은 실질적인 관광객 증가와 도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혁신과 문화의 만남’, ‘K팝과 연계된 글로벌 문화 파급력’ 서울의 강점 인정받아
TOURISE는 업계 리더, 미식·패션·미술·관광 분야 전·현직 임원 등으로 구성된 크로스섹터 심사위원단을 통해 목적지의 혁신성, 경험의 깊이, 문화적 연계성 등을 평가한다.
주최 측은 서울의 강점으로 ‘혁신과 문화의 만남’, ‘K팝과 연계된 글로벌 문화 파급력’, ‘최첨단 엔터테인먼트 인프라’, ‘트렌드를 선도하는 야간문화’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서울이 현대적 즐길거리와 지역적 스토리텔링을 결합해 방문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평가는 TOURISE의 시상 철학(체험·지속가능성·혁신 등)과도 궤를 같이한다.
성과의 연속성...한 해의 ‘단발 수상’이 아닌 누적된 국제적 신뢰
이번 TOURISE 성과는 서울이 최근 몇 년간 다수의 권위 있는 국제 지표에서 연이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와 연결된다.
서울시는 2025년 트래지(‘The Trazees’)에서 ‘글로벌 MZ세대가 가장 사랑하는 도시’ 부문 4년 연속 1위,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 ‘Best City for Solo Travel’ 1위, 미국 매체 Global Traveler의 ‘아시아 최고의 레저 목적지’ 1위 등 다수의 국제 수상 실적을 올해 안에 동시에 또는 연속으로 기록하며 MZ세대·개별 관광자·레저 중심 여행객 등 다양한 수요층에서 강점을 보였다.
이러한 누적된 수상·순위 데이터는 TOURISE에서의 등극을 ‘우연’이 아닌 ‘경쟁력의 증거’로 해석하게 한다.
관광·여행 업계 관계자와 데이터 기반 연구는 도시 순위가 단순한 ‘명예’에 그치지 않는다고 본다.
관광객 유입, 숙박·소비 패턴, 지역문화산업의 외연 확장, 그리고 관련 밸류체인(공연·외식·리테일·교통)의 경제적 파급이 동반된다.
예컨대 최근 발표된 국내·국제 연구·지표는 서울이 감성적 평판과 소셜 미디어 상의 ‘버즈’에서 상위권에 들며 관광 수요 회복과 고부가가치 경험을 동시에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24시간 경제로 대표되는 야간문화', 세계 기준 높은 완성도 보여
이는 서울시가 향후 관광 정책과 콘텐츠 투자에서 ‘체험형 엔터테인먼트’와 ‘야간경제’에 더욱 무게를 둘 이유를 뒷받침한다.
TOURISE의 의장인 사우디 관광부 장관(하이엑서티 히샘 알카티브)의 축사는 “오늘의 수상지는 단순한 지명이 아니라, 경험과 연결성을 통해 여행자에게 의미를 전하는 도시들”이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이러한 국제적 인정은 서울의 문화 콘텐츠 수출력(K팝 및 관련 공연·페스티벌), 기술 융합형 엔터테인먼트(AR/VR 체험시설, 멀티플렉스형 복합공간), 그리고 24시간 경제로 대표되는 야간문화가 세계 기준에서도 높은 완성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재화 서울시 관광산업과장은 “차별화된 관광콘텐츠와 혁신적 서비스를 통해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최고의 관광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공식 입장을 전했으며, 이는 시의 향후 전략 방향을 분명히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