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오는 2027년 세계 최초 완전자율주행 전 단계인 '고도자율주행 레벨4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해 전 세계 자율주행차 선도 목표

자율주행차 이미지(사진=네이버)
국토교통부는 2027년 세계 최초로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앞두고 인천광역시가 지구 지정을 받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레벨3 자율주행차 이미지(사진=네이버)

[한국지방정부신문=박혜선 기자] 국토교통부가 오는 2027년 세계 최초로 완전자율주행 전 단계인 '고도자율주행인 레벨4'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해 전 세계 자율차 선도를 목표로 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인천광역시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운영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용역수행자는 경영, 신기술, 공공부문 전략 전문 컨설팅 기업인 헤브론스타(주)다.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연구와 시범운행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특례가 적용되는 구역을 말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7년 세계 최초로 완전자율주행 전 단계인 고도자율주행인 레벨4 자율주행자동차를 상용화해 전 세계 자율차 선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정·운영으로 제도적, 기술적 미비점을 파악해 다가올 미래차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으로, 지구는 시·도지사의 신청을 받아 국토부 시범운행지구 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통해 지정된다. 

인천은 국가 관문인 인천국제공항, 항만, 경제자유구역 등 스마트 인프라가 구축된 체계적인 도로망과 교통량의 여유가 있는 넓은 도로를 보유한 점에서 자율주행 실증에 매우 우수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는 이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이번 용역을 통해 시범지구의 경쟁력을 면밀히 검토하고, 앞으로의 자율주행 추진방향과 미래비전을 제시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시의회 및 주민 제안 노선 등 다양한 노선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고 최적 노선에 대한 운영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오는 6월 국토부에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신청해, 국토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하반기 중 지구지정 할 계획이다.

김준성 시 교통국장은 “인천시가 타 시·도에 비해 자율주행 분야에 후발 주자에 속하나 이번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통해 미래형 모빌리티 사업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며, “자율주행 관련 연구 기관과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산업의 혁신성장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대한민국 최고의 민·관·학 상생 발전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