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문화재청 공동으로 매장문화재 보호 발굴조사...광화문 역사광장 조성 월대 복원 및 주변부 정비 병행
- 일제강점기 시대, 광화문 월대 동·서편에서 만나 세종로로 향하는 100년 전 Y자형 전차철로 발견

전차철로는 1917년부터 1966년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광화문 월대의 동·서편에서 ‘와이(Y)’자형으로 만나 세종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안국동의 전차 철로와 효자동의 전차 철로가 세종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사진=서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100년 전 일제강점기때 설치되어 운행됐던 광화문 '와이(Y)자형 전차철로’가 발견돼 일반에 공개된다.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와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일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현장을 시민들에게 오는 16일~18일 3일간 광화문 '와이(Y)자형 전차철로’를 공개한다고 밝혀 매장 문화재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날 시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유구 보존과 정비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두 기관은 공동으로 2022년 9월부터 매장문화재 보호를 위한 발굴조사 진행과 광화문 역사광장 조성사업을 위한 월대 복원 및 주변부 정비를 병행하고 있다. 조사 규모는 경복궁 광화문 전면부 6,107㎡를 대상으로 하며,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부(1,620㎡)를 맡았고 서울시는 월대 주변부(4,487㎡)를 발굴조사 한다.

이번 발굴조사의 특징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설치한 전차 철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차철로는 1917년부터 1966년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광화문 월대의 동·서편에서 ‘와이(Y)’자형으로 만나 세종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안국동의 전차 철로와 효자동의 전차 철로가 세종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전차 철로 아래 70cm 깊이에서는 광화문 서편에 있는 삼군부의 외 행랑터와 의정부의 외 행랑터로 추정되는 건물지를 발굴했다. 외행랑과 관련한 유구는 잡석 줄기초와 방형의 적심 시설(대형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짐돌)로 모두 21기이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조성에 앞서 2020년 10월~2021년 6월 광화문광장 전역의 발굴조사를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육조거리와 조선의 주요 관청 터를 확인했으며, 그동안 사료를 통해 추정만 했던 삼군부와 사헌부 등의 위치와 건물 기초를 실제 유구를 통해 처음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발굴 조사에 관심이 있는 시민은 이번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해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된다. 오는 16일~18일 3일 동안 진행하고 하루 3회(총 9회)씩 회당 30명 규모로 운영한다.

또한 4월에는 영상도 제작할 계획으로, 광화문과 주변 역사 문화재에 대한 설명과 문헌자료, 발굴 유구의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 유구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담아 온라인에 공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