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행정활용TF 출범, ‘챗GPT 행정활용 방안’ 발표...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 등 3대 정책 과제 제시
- 이철우 지사 "일상 업무는 인공지능이 대신, 공무원은 창의적 정책활동 집중...그 혜택은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
[한국지방정부신문=정시은 기자] 행정에도 챗GPT를 접목해 활용하는 '인공지능형 지방정부시대'가 현실화 되고 있어서 공직사회의 대변혁이 어떤 모습으로 전개될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철우 경북지사는 “챗GPT가 본격적으로 행정에 도입되면 일상적인 업무는 인공지능이 대신하고 공무원은 보다 창의적인 정책 활동에 집중하는 시대가 올 것이고 그 혜택은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인공지능 일상화를 위한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을 추진하기 위해 6일 ‘챗GPT 행정활용 방안’을 발표하고 '쌍방향 대화형 경북 지식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 ‘챗GPT’를 행정에 접목하고 인공지능 시대 ‘지능형 정부’로 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경북도는 지난달 22일 행정부지사를 총괄반장으로 하는 챗GPT 행정활용TF를 구성했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행정업무 효율화를 목표로 시범사례 발굴에 집중했다.
우선 3대 정책방향으로 ▲인공지능 일상화를 위한 공무원 교육 강화 ▲일상 업무 탈출을 위한 챗GPT 활용 지속 ▲지방정부 지능화를 위한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을 제시했다.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의 일상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이해와 선행사례 학습이 필수적이라 보고, 경북도인재개발원을 중심으로 챗GPT를 포함한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신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현장학습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간부공무원의 인공지능 정책마인드 강화를 위한 ‘비전스쿨’도 신규 개설해 주기적으로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공무원들의 일상 업무 탈출을 위한 챗GPT 활용 모범사례를 만들고 확산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현장에서 신기술 사용에 능숙한 청년공무원을 중심으로 챗GPT사용을 장려하고 ‘생산성 향상사례 보고회’ 등을 개최해 실제 행정효율 향상을 체감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장기과제로는 경북도 차원에서 진행됐던 정책연구용역, 업무계획, 통계자료 등을 대화형 인공지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쌍방향 대화형 경북 지식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위해 국내 IT업체, 대학 등과 협력해 민간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인공지능기술을 행정에 접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