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시장,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이자 자원회수시설을 지역 명소로 탈바꿈한 선진 사례인 덴마크 코펜하겐 ‘아마게르 바케’ 견학
- 상암동 후보지 일대...남쪽으로 한강이 흐르고 좌우로 하늘공원, 노을공원, 월드컵공원, 난지천공원이 위치한 환경적 장점 살린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

사진은 아마게르 바케 주민편의시설 모습 (사진=서울시청)
사진은 아마게르 바케 주민편의시설 모습 (사진=서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유럽의 앞선 자원회수시설을 벤치마킹하며, 마포 자원회수시설을 친환경적인 지역명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인 ‘쓰레기 위기(global garbage crisis)’로 폐기물 처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가운데, 기피시설로 대표되는 폐기물 처리시설을 주민들에게 환영받는 기대시설로 만든 성공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20일(월) 14시(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이자 자원회수시설을 지역 명소로 탈바꿈한 선진 사례인 ‘아마게르 바케’를 방문했다.

아마게르 바케 주민편의시설 (자료=서울시청)
아마게르 바케 주민편의시설 (자료=서울시청)

이날 오 시장은 아마게르 바케 건립 총괄 프로젝트를 담당한 에너지 기업 람볼(Ramboll)과 운영사인 ARC(Amager Resource Center) 관계자로부터 소각시설, 오염물질 배출 방지시설 등 친환경 시설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고, 코펜힐 정상까지 오르며 스키장, 산책로 등 주민 편의시설을 꼼꼼히 확인했다.

서울시가 구상 중인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은 주요시설 및 진입도로를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적용한 주민 편의시설이다.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가 선정한 상암동 후보지 일대는 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좌우로는 하늘공원, 노을공원, 월드컵공원, 난지천공원이 위치해 주변의 환경적 장점을 살린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자료=서울시청
자료=서울시청

아마게르 바케는 건축 디자인뿐 아니라 오염물질 배출에 있어서도 우수사례로 꼽힌다. 소각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염화수소(HCl), 다이옥신, 미세먼지 등의 배출량이 모두 유럽연합 기준보다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시는 현재 가동 중인 광역자원회수시설(마포, 강남, 노원, 양천)도 배출량 기준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있지만, 4개 시설보다 최근에 지어진 아마게르 바케의 배출관리 기술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신규 시설에 최적의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회수시설추진반 고석영 반장은 "창의적인 설계와 디자인, 친환경적인 운영방식으로 기피시설을 지역이 자랑하는 랜드마크로 만든 아마게르 바케의 사례처럼 상암동 자원회수시설도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시설,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명소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