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기업유치 성공으로 국내 최대 규모 생산기지 마련..."글로벌 배터리 강국의 위상 강화 할 것"
[한국지방정부신문=정시은 기자] 경북 포항시(시장 이강덕)가 대규모 이차전지 기업 집적화로 우리나라 최고 이차전지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포항은 포스텍, 가속기연구소,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이차전지 연구인프라와 함께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등 글로벌 이차전지 선도기업 집적으로 핵심 소재 양산까지 밸류체인을 완성했다.
특히 2019년 지정된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대규모의 기업투자유치와 함께 1000억 원 규모의 후속 연계 국책사업을 유치하는 등 3년 연속 전국 29개 특구 중 최고의 성과를 창출하며 K-배터리 혁신 롤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21년 준공한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는 사용 후 배터리를 새로운 먹거리로 만들어내는 인큐베이터로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을 선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구축하고 R&D 실증 인프라를 폭넓게 확보해 이차전지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착실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여기에 기업의 집적화로 포항은 국내 최대 이차전지 원료와 소재 대량 생산 클러스터로 급부상 중이다.
포항은 현재 연산 15만 톤을 자랑하는 국내 최대 양극재 생산도시로 지속적인 생산시설 확대를 통해 2030년에는 세계 양극재 시장의 16.5%에 해당하는 100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양극재를 포함한 리튬, 전구체 등 이차전지 소재 총생산량은 192만 톤 이상이 될 것으로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대량 생산과 원 소재 공급의 핵심 요충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잇따른 대규모 기업 유치 성공으로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생산기지가 마련된 포항은 기업들의 대량 추가 증설과 신규 투자도 활발히 협의 중이며 향후 투자금액 규모는 무려 12조 6500억 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고용인원은 2000여 명에 이르며 오는 2027년까지는 1만여 명 이상의 직접고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포항은 관련 전문인력 수요급증이 예상됨에 따라 포스텍을 비롯한 5개 대학과 마이스터고 2개교 및 관련 기업과 함께 이차전지 맞춤형 전문 인력양성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포항 지정은 대한민국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이차전지 경쟁력 확보로 글로벌 배터리 강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포항이 글로벌 초격차를 선도해 확실한 주도권 확보로 대한민국 이차전지 강국 실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