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위축지역 지정 활성화 및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 완화 요구도
[한국지방정부신문=정시은 기자] 대구광역시(시장 홍준표)가 중앙정부에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을 촉구했다.
4일 시는 미분양 주택 해소 대책을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에 건의했다.
2월 말 현재 미분양 물량은 1만987호로 전국 미분양 물량(7만5438호)의 1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올해 입주예정 물량 또한 3만6000여 호로 예측됨에 따라 미분양 주택 증가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체 미분양 물량 시공사 중 대기업을 비롯한 주택건설 수주 상위 30대 기업이 64.1%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업체의 미분양 물량은 7.3% 정도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지역 입주 예정 물량인 3만6천호를 고려하면 미분양 주택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시가 건의한 대책에는 조정대상지역 지정 및 해제 등 주택정책규제 권한 지자체 이양,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한 매입임대사업 도입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청약위축지역 지정 활성화, 종합부동산세 과세 기준 완화, 대출금 거치기간 부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 등도 건의됐다.
권오환 대구광역시 도시주택국장은 “미분양 해소 등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적극 발굴해 주택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에 건의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시은 기자
localnewsroo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