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12월 실시계획 승인절차 거쳐 연내 AI중심 산업융합집적단지 착공 예정

[한국지방정부신문=신상균 기자] 과학기술정통부(장관 최기영)는 18일 제33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열고 인공지능(AI) 집적단지가 조성될 광주 첨단3지구의 특구개발계획을 심의·의결함으로써 개발계획이 최종 확정되어 다음 주 고시될 예정이다.

이로써 광주광역시(시장 이용섭)가 4차산업혁명 대비 미래 신성장 동력 사업으로 역점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산업융합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오는 12월 실시계획 승인절차를 거쳐 연내 착수할 계획이다.

이번 특구개발계획 확정은 지난 4일 시행된 경제자유구역(AI 융복합지구-첨단3지구) 지정과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집적단지가 조성될 광주 첨단3지구 개발 계획도(사진=광주시)
인공지능(AI) 집적단지가 조성될 광주 첨단3지구 개발 계획도(사진=광주시)

광주 첨단3지구는 북구 오룡동‧대촌동‧월출동, 광산구 비아동, 장성군 남면‧진원면 일원 361만6853㎡에 이르는 지역으로 광주, 전남지역 주요 연구·산업의 거점으로 조성된다.

개발계획의 주요 내용은 전체 면적의 약 32.9%에 해당하는 119만1000㎡는 AI기반 과학기술 창업단지를 포함한 연구·산업용지로, 17.4%인 62만8000㎡는 주거 및 상업용지로 공급되며, 공원녹지 등 기반시설 부지가 49.7%인 179만8000㎡인 친환경 복합단지로 계획됐다.

문재인 정부 지역공약인 AI기반 과학기술 창업단지는 광주과학기술원과 인접한 지역에 배치해 우선 추진하고, 주변지역에 정보통신, 과학기술서비스업 등 관련기업을 유치해 산학연 클러스터가 되도록 육성할 계획이다.

산업용지 중 제조업 용지는 광주시 11대 대표산업 등을 고려해 ‘연구, 광기반융복합, 스마트케어가전, 차세대전지, 나노산업, 의료산업’ 등을 유치업종으로 계획됐으며, 전체 산업용지 면적의 12.6%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전용단지로 공급할 예정이다.

박남언 광주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이번 심의 의결은 첨단3지구가 지난 경제자유구역(AI 융복합지구지정)에 이어 연구개발특구로 인정되는 결과다”며 “중점 추진과제인 AI중심 산업융합집적단지 연내 착공의 기틀을 마련함에 따라, 광주·전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