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기 위원장 “사회현안 대응 위한 범정부 및 지방정부 연계 협업 정책 추진 필요...교육・사회・문화 등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컨트롤타워로서 지방시대위원회 역할 다할 것”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조용원 기자] 역대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지방자치분권위원회가 통합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권한과 위상이 한층 강화되어 지난 10일 공식 출범한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우동기)’가 교육·사회·문화 정책 관련 범부처 협의 ·조정 기구인 ‘사회관계장관회의’의 구성원으로 공식 참여하게 됨으로써 사회문제 해결에도 지방시대위원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1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 처음으로 참석해 ‘취약계층 지원 범사회부처 협업전략’에 대해 심의했다. 그동안 역대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사회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지 못했었다.
이번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부터 우동기 위원장이 처음 참석하게 된 것은 교육·사회·문화 정책 관련 범부처 간 협의·조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사회 및 문화 관계장관회의 규정'이 지난 7일 일부 개정되어 사회관계장관회의 구성원에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통계청장,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등 6개 위원회・부처가 확대 포함된 데 따른 것이다.
우동기 위원장은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범정부 협업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지역주민에게 체감도와 파급력 높은 의제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방자치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컨트롤타워로서 지역 간 불균형 해소, 정주 여건 개선으로 국민 모두가 어디에 살든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와의 협력과 조율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를 겪고 있는 지역의 복구와 주민의 일상회복을 위해 중앙정부, 지방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