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지역 살아보기’ 분야 : 강원 춘천, 전남 고흥, 전남 영암, 경남 사천 4곳 선정

- ‘로컬유학 생활인프라 조성’ 분야 : 강원 인제, 전북 김제, 전북 진안 3곳 선정

- ‘은퇴자 공동체마을 조성’ 분야 : 제주 1곳 선정

- ‘청년 복합공간 조성’ 분야 : 충북 증평, 전북 고창, 전남 광양, 경북 청도 4곳 선정

- ‘워케이션’ 분야 : 부산 해운대, 울산 동구, 경기 가평, 강원 평창, 전남 곡성, 전남 순천 6곳 선정

- ‘지역특색 자율사업’ 분야 : 강원 정선, 충남 청양, 경북 구미 3곳 선정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조용원 기자]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체류형 생활인구를 확보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이번에 처음으로 추진하는 ‘고향올래(GO鄕 ALL來)사업’ 공모 결과, 6개 사업 분야에 총 21개 지방정부를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해 21일 발표했다. 전남이 5곳으로 최다 지역으로 선정됐다.

고향올래 사업은 지방소멸 위기, 인구 이동성 증가 등 급변하는 정책환경을 반영하여 정주인구가 아닌 체류형 생활인구 확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어 올해 처음 시행된다.

이번 첫 시행 사업 분야는 지방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지역경제 활력 제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된 사업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①두 지역 살아보기 ②로컬유학 생활인프라 조성 ③은퇴자 공동체마을 조성 ④청년 복합공간 조성 ⑤워케이션 ⑥지역 특색을 반영한 자율사업 등 총 6개 시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공모사업은 접수된 총 52곳을 대상으로 민간 전문가와 중앙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실무검토,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였고, 총 200억원(지방비 포함)이 지원될 예정이다.

(자료=행정안전부)
(자료=행정안전부)

먼저, 여가·휴양·체험 등을 목적으로 지역과 관계를 맺으며 추가적인 생활거점을 가질 수 있도록 거주 공간, 체험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두 지역 살아보기’ 분야에는 강원 춘천, 전남 고흥, 전남 영암, 경남 사천 4곳이 선정되었다.

‘로컬유학 생활인프라 조성’ 분야에서는 강원 인제, 전북 김제, 전북 진안 3곳이 선정되었다. 정부와 지자체는 도시 거주 학생들이 로컬학교에 6개월 이상 전학하여 가족 전체 또는 일부가 함께 이주해서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거주시설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은퇴자 공동체마을 조성’ 분야에는 제주 1곳이 선정되었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은퇴자를 대상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 외 다른 지역에서 공동체 생활을 통한 상호교류가 가능토록 거주시설과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청년 복합공간 조성’ 분야에는 충북 증평, 전북 고창, 전남 광양, 경북 청도 4곳이 선정됐다. 청년층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청년이 지역 정착을 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인 일자리와 주거시설을 동시에 지원한다.

‘워케이션’ 분야에서는 부산 해운대, 울산 동구, 경기 가평, 강원 평창, 전남 곡성, 전남 순천 6곳이 선정되었다. 정부는 참여자가 근무할 수 있는 사무시설을 구축하고, 근무 외 시간에 해당 지역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교류 등 특화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자율과제’ 분야에서는 강원 정선, 충남 청양, 경북 구미 3곳이 선정되었다. 정부는 다양한 층의 생활인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지역 특색을 반영하여 거주시설과 다양한 프로그램(지역탐방, 취·창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많은 지역에 생활인구가 유입되어 지역의 활력이 되살아나고, 숙박·외식 등 관련 산업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향후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전국적으로 생활인구 확보 사업이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