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지방시대위-중기부-창조경제혁신센터 공동간담회...새로운 민관협력 패러다임으로 지역 창업 생태계 견인
- 이영 장관 “대기업-스타트업, 전략적 윈-윈(win-win) 형태의 새로운 개방형 혁신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를 견인해야”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조용원 기자]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우동기 위원장은 “지방의 혁신 중소기업이 지방시대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대·중소기업 협력 허브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을 기대하며, 지방시대위원회에서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15일 밝혔다.
우동기 위원장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포항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전국 19곳 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혁신센터 당연직이사이자 파트너인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역의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 및 창업 등 지역의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 9월 전국 17개 시‧도에 설립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난 9년여간 성과를 점검하고, 변화된 대내·외 환경을 고려한 혁신센터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파트너 대기업과의 개방형 혁신을 중심으로 한 혁신센터의 주요 성과를 청취하고, ’스타트업 코리아 대책‘ 등과 연계하여 새로운 파트너십에 기반한 향후 혁신센터가 지역창업 정책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발전 방안으로는 개방형 혁신 체계 개편, 혁신센터 간 원팀 구축을 통한 지역 스타트업 공동 보육 체계 도입, 자생력 강화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내용은 충분한 대내외 협의 등을 거쳐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우동기 위원장과 이영 장관은 포항 지역에 구축된 세계적 수준의 혁신 클러스터 현장(체인지업그라운드,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및 실험동(RIST), 제조인큐베이션센터 예정지 등)을 시찰하고, 지역 스타트업 밸류 체인 조성 내용, 지역 기업의 역할 및 성과에 대해 청취했다.
이영 장관은 “사회적 책임경영(ESG) 일환으로서의 대기업이 지역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기존의 방식을 넘어, 전략적으로 상호 수요를 충족하는 윈-윈(win-win) 형태의 새로운 개방형 혁신을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를 견인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민간이 스타트업 생태계를 주도하고, 정부는 제도적·행정적으로 이를 뒷받침 해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