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포해양대, 미래 생존 전략 정책 공모 투표 “인천대와 통합 추진”...인천대와 통합안 44%, 목포대와 통합안 29.9%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국립목포해양대가 인구 감소로 지역 대학의 위기 상황이 가속하자 최근 대학 미래 생존전략 정책공모 투표를 통해 국립인천대학교와 통합을 추진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깊은 우려와 함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도내 대학과의 담대한 협력을 통해 전남 미래 100년의 동반자로 함께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영록 지사는 27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인천대학교 통합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지방소멸과 대학 위기 현실에서 지난 70년간 도민의 사랑 속에 성장한 목포해양대학교가 지역과의 동반성장보다는 수도권 대학과의 통합을 모색하는 것에 대해 아쉽다”고 밝혔다.
이어 “전남도는 지방소멸과 대학위기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해 지역발전의 허브 역할을 할 지역 거점대학 육성에 온힘을 쏟고 있다”며 “올해도 교육 3대 프로젝트인 교육발전특구 지정, 글로컬대학 추가 선정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에 지역 대학들과 한마음으로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록 지사는 “수도권은 이미 과밀화된 상태로, 대학 정원 총량규제를 적용받아 수도권 대학과의 통합은 법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불가한 사항으로 중앙정부도 이와 같은 입장”이라며 “실현 가능성이 없는 방안으로 혁신의 적기를 놓치는 것은 물론, 지역민과의 괴리가 생기는 것은 국가와 지역, 대학 모두의 불행”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목포해양대학교 구성원의 충분한 논의로 수도권이 아닌 도내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의 길을 찾아줄 것을 부탁한다”며 “전남 미래 100년 대도약의 동반자로서 함께하길 기대한다”고 피력했다.
전남도는 지역 대학과의 상생을 위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전면 시행, 글로컬대학 지정 총력 지원 등을 통해 지역 고등교육의 발전을 계속 선도하고 있다. ‘지역이 키우는 대학, 대학이 살리는 지역’이라는 비전을 실현하도록 지역 대학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립목포해양대학교, 미래 생존전략 정책 공모 투표 "국립인천대와 통합 추진"...인천대와 통합안 44%로 가장 높아, 목포대와 통합은 29.9%
한편, 지난 15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는 인구 감소로 지역 대학의 위기 상황이 가속하자 대학 미래 생존전략 마련을 위한 정책 공모를 통해 교수, 교직원, 학생, 동문을 상대로 투표한 결과 인천대와 통합안이 44%, 대학 내부 혁신과 목포대와 통합안은 29.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3학년도 목포해양대 경쟁률은 항해 등과 관련된 해사대의 경우 수시와 정시 모두 4대 1을 넘었지만 해양공대는 수시 2.29대 1, 정시 미달을 기록했고 직장인이 지원할 수 있는 융합과정도 수시와 정시 모두 미달한 바 있다.
목포해양대는 인천대와 통합하면 대학이 수도권으로 진입해 학생을 안정적으로 모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인천대와 통합을 추진할 경우 지역 반발이 불가피한 데다 이들 대학의 설립 요건도 달라 통합 과정이 순탄할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