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문 제주교육감 47.1%로 2위 껑충, 경북 임종식 45.4%로 3위...인천 도성훈 33.8%로 최하위
– 시교육감별 톱3 : 1위 대전 설동호(43.6%), 2위 울산 노옥희(42.8%), 3위 세종 최교진(39.1%)
– 도교육감별 톱3 : 1위 전남 장석웅(50.7%), 2위 제주 이석문(47.1%), 3위 경북 임종식(45.4%)
[한국지방정부신문=안종기 기자] 7월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직무수행 평가 조사에서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이 15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이석문 제주도교육감이 2위로 껑충 뛰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9일 발표한 2020년 7월 월간 정례 광역지방정부(15개 시도지사, 서울시장·부산시장 제외) 평가 조사에서 장석웅 전남교육감이 50.7%로 1위, 이석문 제주교육감이 47.1%로 2위, 임종식 경북교육감이 45.4%로 3위를 기록했으며 도성훈 인천교육감이 33.8%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장석웅 전남교육감의 지지율(‘잘한다’ 긍정평가)이 한 달 전 6월 조사 대비 7.2%p 내린 50.7%를 기록했으나 15개월 연속 1위를 유지했다. 평교사 출신의 초선 교육감으로서 남다른 친화력과 탁월한 리더십, 혁신적 교육행정 역량을 높이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주 이석문 교육감은 47.1%로 지난 달에 비해 2.2%p 상승, 순위는 2위로 세 계단 상승하며 지난 11월 이후 8개월 만에 톱3에 진입했다. 경북 임종식 교육감은 1.2%p 내린 45.4%로 순위 변동없이 3위를 유지했다.
이어 대전 설동호 교육감(-1.1%p, 43.6%)이 두 계단 오른 4위, 전북 김승환 교육감(-1.8%p, 43.5%)이 한 계단 내린 5위, 울산 노옥희 교육감(-1.8%p, 42.8%)이 한 계단 오른 6위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경기 이재정 교육감(-4.9%p, 41.9%)이 다섯 계단 내린 7위, 충북 김병우 교육감(-0.8%p, 41.4%)이 두 계단 오른 8위, 세종 최교진 교육감(+0.1%p, 39.1%)이 다섯 계단 오른 9위, 서울 조희연 교육감(-5.6%p, 38.4%)이 두 계단 내린 10위, 충남 김지철 교육감(-2.7%p, 38.2%)이 지난달과 동일한 11위, 대구 강은희 교육감(+0.7%p, 37.8%)이 세 계단 오른 12위로 중위권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경남 박종훈 교육감(-3.4%p, 37.5%)이 두 계단 내린 13위, 강원 민병희 교육감(-4.8%p, 34.7%)이 한 계단 내린 14위, 부산 김석준 교육감(-2.4%p, 34.0%)이 한 계단 오른 공동 15위, 광주 장휘국 교육감(-9.8%p, 34.0%)이 여섯 계단 내린 공동 15위, 인천 도성훈 교육감(-2.3%p, 33.8%)이 지난달과 동일한 17위로 하위권으로 조사됐다.
시교육감별로 보면, 대전 설동호 교육감(43.6%)이 1위, 울산 노옥희 교육감(42.8%)이 2위, 세종 최교진 교육감(39.1%)이 3위, 서울 조희연 교육감(38.4%)이 4위, 대구 강은희 교육감(37.8%)과 부산 김석준 교육감(34.0%)이 공동 5위, 광주 장휘국 교육감(34.0%)이 7위, 인천 도성훈 교육감(33.8%)이 8위을 기록했다.
도교육감별로는 전남 장석웅 교육감(50.7%)이 1위, 제주 이석문 교육감(47.1%)이 2위, 경북 임종식 교육감(45.4%)이 3위, 전북 김승환 교육감(43.5%)이 4위, 경기 이재정 교육감(41.9%)이 5위, 충북 김병우 교육감(41.4%)이 6위, 충남 김지철 교육감(38.2%)이 7위, 경남 박종훈 교육감(37.5%)이 8위, 강원 민병희 교육감(34.7%)이 9위로 나타났다.
한편, 세종 최교진 교육감(+5위, 6월 14위 → 7월 9위)과 광주 장휘국 교육감(-6위, 6월 9위 → 7월 15위), 경기 이재정 교육감(-5위, 6월 2위 → 7월 7위)은 순위 변동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2020년 7월 조사에서 17개 시도교육감 전체의 평균 긍정평가는 40.2%(-2.8%p, 6월 43.0%)로, 평균 부정평가는 39.7%(+3.4%p, 6월 36.3%)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가 2020년 7월 24일~7월 3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7,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RDD 방식으로 실시했으며(응답룰 4.9%),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