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31개 시군 중, 2위 화성시 재정자립도(50.2%) 대비 7%포인트 높아

- 지난해 재정자립도(59.6%) 대비 2.4%포인트 떨어져

성남시가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에서 재정자립도 1위를 기록했다. 성남시청 전경 (사진=성남시)
성남시가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에서 재정자립도 1위를 기록했다. 성남시청 전경 (사진=성남시)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경기 성남시(시장 신상진)가 전국 기초지방정부 중 재정자립도 1위를 차지했으며, 광역지방정부까지 포함하면 서울과 세종 이어 3위에 올랐다.

재정자립도란 지방정부가 재정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어느 정도나 자체적으로 조달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재정자립도는 세입 징수 기반을 의미하므로 수치가 높을수록, 지방정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자립 능력이 높다는 뜻이다.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인 지방재정365가 공개한 ‘2024년 시군구 재정자립도(당초 예산 기준)’에 따르면 성남시 재정자립도는 57.2%로, 전국 기초지방정부 가운데 1위로 나타났다.

광역지방정부를 포함한 전국 시군구 중에서는 서울특별시 본청(76.4%), 세종특별자치시 본청(57.6%)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시군구 재정자립도(43.3%)보다는 13.9%포인트 높은 수치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에서는 2위 화성시 재정자립도(50.2%)보다 7%포인트 높은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성남시 재정자립도(59.6%)보다는 2.4%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 관계자는 “성남시는 전반적으로 유사 지방정부보다 재정 규모가 크지만 쓸 때는 쓰고 아낄 때는 아끼면서 낭비성 예산을 최대한 줄여서 예산의 효율성을 높여 건전한 재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