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까지 희망 의료기관 접수…통역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 시설 내 외국어 설명서·안내표기 등 설치, 외국어 정보 제공 누리집·SNS 운영 등 6개 요건 갖춰야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지난달 외국인주민들을 위한 의료 통역서비스 활동가 11개 언어권 29명을 배출한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외국인 주민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외국인주민 친화병원’ 20곳을 지정하기로 했다.
‘외국인주민 친화병원’은 외국인 주민들이 의사소통 장벽, 불친절한 서비스, 과잉진료 등에 대한 걱정을 없애고 안심하게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광주시가 지정하는 의료기관이다.
‘외국인주민 친화병원’ 신청 접수는 오는 30일까지이며, 희망 의료기관은 지정신청서, 의사소통 및 의료서비스 2개 분야 지정요건 충족표 등 서류를 광주시 외국인주민과(062-613-1642)에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 누리집(https://www.gwangju.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지정 요건 중 의사소통 분야는 ▲통역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 ▲시설 내 외국어 설명서·안내표기 등 설치 ▲외국어 정보 제공 누리집·SNS 운영 등이 있다.
의료서비스 분야는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거부 금지 및 친절한 서비스 제공 ▲적정 진료 및 합리적 비용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외국인주민 대상으로 보험수가(보험에서 정한 '공정' 진료비)에 준한 의료서비스 제공 등이다.
광주시는 서류심사·현장실사 등을 거쳐 오는 9월 총 20개소를 선정, ‘외국인주민 친화병원’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외국인주민 친화병원’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대해 ▲친화병원 현판·지정서 제공 ▲광주시 누리집·SNS 등을 통한 의료기관 홍보 ▲2024년 건강보험 미적용 외국인근로자 대상 의료비 일부 지원 ▲광주시 의료 통역 활동가 무료 파견 지원 ▲매년 우수기관 시장 표창 등 다양한 혜택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영동 여성가족국장은 “외국인주민들이 언어소통 등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기 위해 ‘외국인주민 친화병원’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외국인주민 친화적 의료환경을 조성하고 확대시켜 ‘포용도시 광주’를 실현해 외국인주민이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최소한의 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지난 7월 27일 시청 무등홀에서 ‘의료 통역 활동가 양성과정 수료식’을 개최하고 외국인주민들을 위한 의료 통역서비스 활동가 11개 언어권 29명을 배출했다.
이 사업은 언어 장벽으로 인해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는 외국인주민을 위해 의료 통역가를 양성, 병의원 등에 파견하는 의료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의료전문 통역사 교육과정은 의료분야별 전문강사 대면교육(60시간)과 병원 등 현장실습(12시간)으로 진행됐다. 주요 교육내용은 ▲외국인 환자 문진 및 상담기술 ▲기초 의학용어 ▲근골격계 통증질환의 이해 ▲정신질환의 이해 등이다.
광주시는 교육과정을 거쳐 필기·실기시험을 통과한 최종 29명의 수료자를 배출했다. 지원언어는 베트남·중국·러시아·우즈베키스탄·일본·대만·몽골·미얀마·인도네시아·태국·필리핀·캄보디아 등 총 11개 언어권이다.
최종 선발된 의료 통역가는 하반기부터 외국인주민 환자나 외국인주민 친화병원 요청 때 파견될 예정이며, 한국어가 능숙하지 않은 외국인주민이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 동행해 병원 접수·진료·검사·수납 등 모든 과정에서 의료통역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특히 감기·상처 등으로 인한 병원 방문보다 중증(응급)환자, 수술, 정밀검사 등 전문통역이 필요한 경우 우선 지원해 올바르고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